우리 대학과 부산교대(교대)가 통합을 위한 첫걸음을 떼고 본격적인 움직임에 들어갔다. 2021년 4월 양해각서(MOU)를 통해 서로의 의사를 확인한 후 실행 단계에 들어선 것이다. 당시 MOU는 지지부진하던 논의의 진전이라며 상징성이 강조됐지만 실질적인 학내 구성원은 무관심했다. 우리 대학이 구체적인 통합 방식이나 형태를 거의 공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교대 역시 MOU를 체결한 당일에서야 해당 사실을 알게 됐다며 학생들의 분노와 반발이 극심했다. 두 대학의 통합이란 막중한 사안이 학내 구성원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 것이다.

그로부터 2년이 지났지만 별다른 변화는 없었다. 글로컬대학30 사업 공동 지원으로 실제 통합에 가까워지면서 학내외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소통 부재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지난 5월 22~25일 <채널PNU>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재학생 과반수가 통합에 반대 의사를 표했고 그중 대부분은 우리 대학의 이익이 없단 점을 이유로 꼽았다. 통합에 따른 변화를 설명하는 구체적인 공지가 없었기 때문이다. 교수들의 반응도 동일했다. 지난 5월 25~27일 우리 대학 교수회에서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교수들은 대학본부의 소통 부재에 불만을 표하며 이번 사업에 대한 홍보와 안내가 충분치 못했다고 답했다. 교육부 정책 기조와 우리 대학의 생존을 고려하면 이번 방안이 필요함을 알지만 설득 과정이 미흡했단 의견이다.

교대 학생들의 반응도 별반 다르지 않다. 통합 자체는 불가피한 시대적 변화임을 인지하고 있지만 일방적인 통보가 잘못됐단 의견이 주류다. 교대 학생 측의 기자회견에도 ‘내용도 모르고 추진하는 사업에 동의할 수 없다’거나 ‘학생 목소리를 들어라’는 등 의견 수렴을 촉구하는 구호가 많다. 통합에 따른 혜택과 불이익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듣지 못해 판단은커녕 납득할 시간조차 없었단 것이 학생들의 입장이다. 실제로 교대 대학본부는 지난해 11월 5번의 간담회와 온라인 소통 창구 제공을 약속했지만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학령 인구 절벽을 앞둔 상황에서 글로컬대 사업 선정은 양 대학 모두에게 필요한 혁신이다. 부산 지역 4년제 15개 대학 모두가 이번 사업에 지원했단 사실이 이를 방증한다. 비단 예산 지원을 넘어 교육부 라이즈(RISE) 사업의 첫발을 뗀다는 점에서 상징적인 의미도 크다. 당초 그 누구도 선정 대학이 얻게 될 막대할 이익을 부정할 순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학생들의 목소리가 없는 통합은 결코 득이 되는 길이 아니다. 원활하지 못한 의견 수렴 절차는 당장 교육부가 내건 조건에도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지난 2월 정책 브리핑을 통해 ‘내부 합의를 통한 실천 역량’을 강조한 바 있다. 대학본부가 지원 마감 일주일 전에서야 부랴부랴 설명회를 개최한 것은 ‘쇼(Show)통’ 행보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진정한 ‘소통’이 필요한 때다. 다섯 페이지의 예비지정 계획서 통과가 아니라 대학의 미래를 바라봐야 한다. 기획처와 재학생이 직접 만나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 양 대학 학생들이 서로의 입장을 확인할 수 있는 건설적인 공론장 마련을 촉구한다. 장덕현 기획처장은 설명회 당일 “구성원들이 통합을 반대하면 어떡할 거냐”는 질문에 “반대하면 통합 못 한다”고 답했다. 구성원 동의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정한 만큼, 사업과 통합 절차에 대해 진정성 있는 설득이 요구된다.

이미 도전장은 던져졌다. “본지정 때는 학내 의견 수렴 절차를 다시 거치겠다”는 그의 말처럼, 양 대학 구성원 모두가 사업을 이해하고 납득할 수 있는 기회가 있길 바란다. 학내 구성원의 의견이 적극 반영되는 통합이 진정 ‘담대한 혁신’이다.

임하은 부대신문 편집국장
임하은 부대신문 편집국장

 

관련기사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