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부산대 기후변화 포럼 열려
-다양한 분야의 교수진 7명 모여
-탄소중립 실천 방법 및 방향성 논의
-"구성원 참여 위해 혜택 가시화 필요"

“우리 대학과 사회는 기후변화 대응에 ‘실패’한 것이 아니다. 실패란 표현은 열심히 대응해보고 그때도 안됐을 때 쓰는데, 우리는 (애초에) 대응을 안했다.” (우리 대학 기후과학연구소 이준이 교수)

지난 5일 우리 대학 공학교육 혁신센터와 공과대학이 주관하는 ‘부산대학교 기후변화 포럼’이 기계관에서 열렸다. 우리 대학 공학교육혁신센터와 공과대학이 주관한 이번 포럼은 다양한 전공의 교수진들이 기후위기 시대에 탄소중립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대안을 모색하고 우리 대학이 수행해야할 역할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기후과학연구소 이준이 교수 △도시공학과 정주철 교수 △화학과 박강현 교수 △융합의과학과 문유석 교수 △사회학과 김은혜 교수 △공공정책학부 김경우 교수 등 6명이 참석했다.

지난 9월 5일 기후 위기 포럼에 참석한 교수들이 서로 질의를 나누고 있다. [공학교육혁신센터 제공]
지난 9월 5일 부산대학교 기후변화 포럼에 참석한 우리 대학 교수들이 서로 질의를 나누고 있다. [공학교육혁신센터 제공]

주제 발표를 맡은 이준이 교수는 우리 대학이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어려운 이유는 ‘탄소 배출원’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우리 대학이 소유하는 배출원에서 탄소를 내뿜는 것(scope1)만 고려한 나머지, 대학이 외부에서 에너지 전력을 사들여 사용하는 것(scope2)과 통근 차량이나 폐기물 처리 등에서 발생하는 조직 외부의 배출(scope3)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비용이 점점 저렴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우리 대학의 실천을 촉구했다.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에 따르면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50%로 줄이는 데 필요한 모든 기술이 이미 확보됐다. 이 교수는 “점차 탄소 증가에 따라 감당해야 하는 손실과 손해액이 커지고 있는 반면 탄소 배출량 감소에 드는 비용이 저렴해지고 있다”며 “개인의 선택만으로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없기에 사회 문화적 인프라 지원 동반을 통해 수요 측면도 감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기후위기 시대 속 우리 대학의 교육적 역할을 강조했다. 우리 대학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선도적 융합 연구 △기후 탄력적 발전을 견인할 인재 양성 △국제협력 강화로 대학의 국위 위상 제고 △학내 탄소중립과 지속가능발전목표 수립 및 달성 등이라 설명했다. 이 교수는 “앞으로는 대학을 평가하는 데 사회 지속 가능성에 대한 대학의 기여도가 포함될 것”이라 말했다.

주제 발표 후 진행된 패널 토의에서 우리 대학 공공정책학부 김경우 교수는 지속 가능한 대안으로 ‘혜택의 가시화’를 제안했다. 김 교수는 “직접적인 편익을 얻는다면 대학 구성원 개개인이 탄소저감을 위한 노력을 할 테지만 그 혜택은 당장 눈에 보이지 않아 대학 구성원의 노력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며 “구체적인 수치가 담긴 목표를 세우고, 개개인의 노력이 탄소 절감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가시적으로 보여준다면 구성원들의 단합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