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말 정치인 응원' 논란 촉발
-솜방망이 징계·부실한 사과에
-단과대 학생회 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들도 대응 움직임

부대신문 1642호 발행에 따라 3월 29일을 기준으로 최신 현황을 보도합니다. 

우리 대학 이창준(지질환경과학, 22) 총학생회장의 ‘막말 정치인 응원’ 사태를 두고 학생사회가 갈등과 혼란을 겪고 있다. 총학생회장의 직위를 사적인 이익에 이용했다는 의혹으로 시작된 논란은 ‘부실 대응’ 논란으로 번지며 학생 분노를 키우고 있다. 이 총학생회장에 대한 해임 촉구 목소리까지 강경하게 나오는 가운데 단과대학 학생회 차원에서도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자 일부 학생들은 개별적인 대응책을 모색하겠다고 나섰다.

우리 대학 문창회관 3층에 위치한 총학생회실. [윤다교 부대신문 국장]
우리 대학 문창회관 3층에 위치한 총학생회실. [윤다교 부대신문 국장]

3월 29일 <채널PNU>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3월 18일 우리 대학 이창준 총학생회장이 장예찬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의 무소속 출마 기자회견장에서 응원 구호를 외치고 있는 사진이 각종 언론에서 보도되며 논란이 촉발됐다. ‘전교생의 대표자’로서 막말 논란으로 공천이 취소되는 등의 물의를 빚은 정치인에 힘을 보태는 행보를 보였다는 것이다. 지난 2월에도 같은 후보의 선거 캠프에 ‘총학생회’의 공식 명칭으로 방문했다는 사진이 공개되며 학생 사회의 비판 여론에 불을 지폈다(<채널PNU> 2024년 3월 19일 보도).

우리 대학 익명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타)에서는 거센 비판 여론이 확산됐다. ‘정치는 학생 대표자 이름표 떼고 해야하는 것 아니냐’, ‘대학생, 청년, 군인, 여성을 비하한 사람 옆에서 응원하고 있는 게 말이 되냐’, ‘자기 자리를 인지하고 행동해라’라는 등의 비판 글이 쏟아졌다. 학내 게시판 곳곳에는 이 총학생회장이 대표성을 흐렸다는 책임을 묻는 대자보도 여럿 붙었다.

이에 이 총학생회장은 지난 3월 19일 총힉 공식 SNS와 <채널PNU>와의 인터뷰를 통해 입장을 밝혔다. 지난 2월 18일 장 후보의 캠프에 ‘부산대 총학생회’의 공식 이름으로 방문했던 건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 개정을 촉구하기 위한 공식적 자리였으며, 지난 3월 18일 출마 선언식에 참석했던 건 해당 후보와 개인적인 친분이 있어 공식적인 이름으로 방문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같은 날 총학생회(총학) 메일로 민원이 접수됨에 따라 단과대학 회장들을 중심으로 이 총학회장의 사안에 대한 징계를 논하는 징계위원회가 열렸지만, ‘부산대 총학생회칙’에서 명시하고 있는 여섯 단계의 징계 중 가장 낮은 수위 1호에 해당하는 '사과문 권고'로 결정돼 '솜방망이 징계'라는 학생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채널PNU> 2024년 3월 20일 보도).

권고에 따른 이 총학생회의 사과문마저 상황에 대한 명확한 해명이나 학생들의 의문 제기에 대한 소명이 담겨있지 않아 오히려 학생들의 분노를 키웠다. 이 총학회장과 친분이 있는 단과대학 회장들을 중심으로 한 '밀실 논의', '날치기 통과'가 아니냐는 비판도 일었다(<채널PNU> 2024년 3월 22일 보도).

학생사회에 이 총학생회장에 대한 징계 재논의 혹은 사퇴 의결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자, 지난 3월 21일 △사회과학대학 △경영대학 등 일부 단과대학을 중심으로 사안을 논의하기 위한 임시 대의원총회(대총) 개회 발의가 이뤄졌다. 임시 대총은 총학생회칙 19조에 따라 대의원 10분의 1 이상의 발의가 있을 시 총학생회장이 소집해야 한다. 하지만 이 총학생회장은 대총을 소집하지 않았고, 이에 지난 3월 25일 ‘‘해임 결의에 관한 임시 대총 개회 요구서’를 다시금 제출했으나 이 역시 소집 거부됐다. 총학생회칙에 개회하지 않을 시의 제재 조항은 없는 상황이다.

이 총학생회장은 지난 3월 27일 <채널PNU>에 대총 계획이 없다며 거듭 ‘일사부재리’를 강조했다. 이미 결정에 이행된 징계를 다시 논하는 건 이중 처분”이라며 “사과문 작성 여부와 관계없이 결정문이 나온 것만으로 징계 논의는 끝난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덧붙여 “대총을 열기보다 학생들이 모두 모여 사안을 논의할 수 있는 토론 자리를 만들고자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이 총학생회장이 단과대 학생회 모임인 확대중앙운영위원회를 대상으로 비난 발언에 대한 형사 고소가 가능함을 피력하며 갈등의 골은 더 깊어지고 있다(<채널PNU> 2024년 3월 27일 보도). 대총 개회 요구서를 제출한 이석영 사회과학대학 회장은 “본인을 포함한 단과대 회장단은 협의를 거쳐 추후 대응 방향을 논의할 계획”이라 답했다.

단과대학 차원에서도 해결 실마리가 보이지 않자 학생회가 아닌 일부 학생들을 중심으로 이 총학생회장의 책임을 묻기 위한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 학생들의 여론을 모으고 있는 A(정치외교학) 씨는 “문제의식이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목소리를 모으게 됐다”며 “실질적인 액션을 취할 수 있는 학생회가 동력을 잃지 않도록 비학생회인 저희가 힘을 싣고자 한다”고 말했다. 덧붙여 “학생회들이 학생회들 간의 소통은 물론 학생사회와도 소통을 이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