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청년정책 톺아보기
-K-PASS 도입·응시료 감면 등
-교통·주거·일자리 정책 다양
-부산 청년 범위 39세까지 확대

<채널PNU>가 2024학년도의 새학기를 앞두고 지역 청년을 위한 정책의 주요 내용을 정리했다. 전국적인 △교통 △주거 △일자리 △금융 분야의 정책과 함께 부산에서만 시행하는 정책을 알아본다.

■교통: K-PASS 도입

오는 5월부터 지하철·버스 통합 이용권인 'K-PASS'가 도입된다. K-PASS란 지하철·버스 등 대중교통을 한 달에 2회 이상 이용하면 월 60회 지원 한도 내에서 연간 최대 21만 6천 원을 환급해주는 제도다. 이용금액에 대한 환급 비율은 청년(19~34세) 기준 30%로, 일반 이용자가 20%인 것에 비해 높다. 저소득층은 53%가 환급된다. K-PASS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 또는 11개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 발급 신청할 수 있다. 다만 기존에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했다면 따로 재발급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곧바로 사용 가능하다.

5개의 주요 섹션으로 나눠 분류한 2024년도 청년 정책. (c)김신영 기자
5개의 주요 섹션으로 나눠 분류한 2024년도 청년 정책. (c)김신영 기자

■주거: 월세 특별지원

코로나19 이후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기 위해 마련된 청년월세 특별지원이 올해도 시행된다. 당초 계획은 2023년까지였으나, 국토교통부의 예산 마련으로 1년 연장된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월 26일부터 1년 간 복지로 사이트를 통해 신청을 접수한다고 공지했다. 지원 대상은 부모님과 별도 거주 중인 무주택 청년(19~34세)으로 청약통장 가입이 필수다. 소득 및 재산 조건이 부합하는 청년은 생애 1회에 한해 월 20만 원씩 최대 12개월간 지원금을 받는다.

지난 2월 21일엔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도 신설됐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 통장은 저축부터 청약·대출과 연계해 청년의 주거 마련과 자산 형성을 동시에 지원하려는 취지로 추진됐다. 매달 최소 2만 원에서 최대 10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고, 5000만 원 한도 내에서 최대 연 4.5%의 이자를 지급한다. 신청은 전국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국민 △우리 △신한 △하나 △기업 △부산 △경남 △농협)에서 할 수 있다.

■일자리: 응시료 감면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이 지난 2월 22일 신설 발표한 '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도 눈에 띈다. 해당 지원금은 △조선업 △뿌리산업 등 제조업 △음식점업 △농업 △해운업 △수산업과 같은 ‘빈일자리’ 업종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청년에게 지급된다. 청년 임금 격차와 산업의 인력난을 동시에 해결한단 전략이다. 빈일자리는 현재 비어 있거나 1개월 안에 새로 채용될 수 있는 일자리를 의미한다. 지난해 10월 1일부터 오는 9월 30일 사이 빈일자리 업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이 대상이다. 고용24를 통해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한다.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도 50% 감면된다. 청년은 전체 548개의 국가기술자격 종목 중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시행하는 493개 종목에서, 1인당 연 3회까지 응시료의 절반을 내년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큐넷(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금융: 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19~34세 청년이 중장기 목돈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자산증식 목적의 금융 상품이다. 소득에 따라 월 40만 원에서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고, 정부가 3~6% 지원금을 추가 지원한다. 여기에 5년간 더해지는 은행 이자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청년층의 목돈 마련이 목적이라, 소득이 없는 취업 준비생과 대학생 등은 해당되지 않는다. 아르바이트의 경우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면 신청 가능하다.

■부산 청년이라면

부산시는 지난해 12월 27일 기존 18살에서 34살까지로 규정하던 청년의 폭을 39살까지로 5살 확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시는 올해 '부산청년만원문화패스'를 신설했다. 부산에 거주하는 청년이 1만 원을 내면 시가 10만 원을 지원해 총 11만 원 상당의 지역 문화 공연을 볼 수 있는 제도다. 소득의 제한 기준은 따로 없으며 18~39세 사이 부산 거주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능하다. 사업은 오는 7월부터 동백전 앱을 통해 시행돼, 9~11월에 있는 공연을 예매할 수 있다. 부산시 청년정책담당관 관계자는 “부산시 측에서 공연을 리스트업 해놓은 것을 시민들이 선정해서 관람하는 식으로 진행된다”고 말했다.

2022년 시행된 ‘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 사업이 올해도 이어진다. 시에 거주하는 일하는 청년이 매월 10~30만 원을 18~36개월 동안 저축하면, 본인 저축액과 동일한 금액만큼을 시가 지원한다. 올해 하반기에 새로운 시행안에 대한 계획이 안내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