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퓰리처상 사진전 부산전시 연계 특강서
-LA폭동, 북한 등 취재 경험과 생각 전해
-"한국에서 우리 문화 알리는 데 힘쓰고파"

강형원 기자. [(재)부산문화회관 제공]
강형원 기자. [(재)부산문화회관 제공]

“좋은 보도 사진은 ‘비주얼 스토리텔링’이 필요합니다. 취재를 철저하게 한 뒤, 사진으로 스토리를 보여 주는 동시에 객관적인 보도가 드러나야죠.”

한국인 최초로 두 번이나 퓰리처상을 수상한 포토 저널리스트 강형원 기자가 지난 4월 2일 ‘퓰리처상을 빛낸 사람들: 기자정신’ 특강의 첫 번째 강연자로 나서 과거 직접 취재한 경험과 사진 기자의 삶을 생생하게 풀어냈다. 특강은 부산문화회관이 주관한 ‘2022 퓰리처상 사진전 부산전시’와 연계해 퓰리처상 수상자들을 초청해 그들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마련됐다.

총을 들고 폭도들에 스스로 맞섰던 LA 폭동 당시의 한인들. [강형원 기자 제공]
총을 들고 폭도들에 스스로 맞섰던 LA 폭동 당시의 한인들. [강형원 기자 제공]
거대한 불길 앞에서 양동이로 물을 끼얹는 LA주민의 모습. [강형원 기자 제공]
거대한 불길 앞에서 양동이로 물을 끼얹는 LA주민의 모습. [강형원 기자 제공]

강연은 강 기자가 첫 퓰리처상을 수상한 92년도 LA폭동으로 시작됐다. LA 폭동은 1992년 4월 29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흑인들이 일으킨 폭동이다. 1991년 백인 경찰에게 무차별적으로 폭행당한 흑인 로드니 킹 사건에 분노하여 일어났지만, 미국 경찰의 한인 타운 치안 방치로 한인들과 그들이 운영하는 가게가 타깃이 됐다.

강 기자는 “나 또한 이민자다. 한인들이 피해를 본 상황에서 나만 잘산다고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며 “폭동 두 번째 날 한인 타운에 들어가 자원봉사자들을 취재했다”고 말했다. 사진에 담고 싶었지만 놓친 장면이 있냐는 청중의 질문에 “많은 곳을 돌아다니다가는 (사진을) 한 장도 못 찍을 것 같았다”며 “한 영역을 정해 선택적으로 촬영했다”고 답했다.

 

북한 취재 당시 찍은 사진. [강형원 기자 제공]
북한 취재 당시 찍은 사진. [강형원 기자 제공]

북한 취재 당시 어려웠던 상황도 소개했다. 그는 1995년 북한 독점 취재 권한을 따냈지만 도착 당일 격리됐다. 갑작스럽게 비자가 취소되었기 때문이다. 강 기자는 북한 병사와 찍은 사진을 소개하며 “발이 묶인 상황이었지만 한 장면이라도 더 사진에 담아야겠다고 생각했다”고 회상했다. 이어 “취재를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득력 있게 말했더니 입국 허가가 났다”며 “기자란 어떤 상황에서도 궁금증을 가지고 취재해야 하는 직업이다”고 말했다.

강 기자는 ‘포토 저널리스트’는 저널리스트(Journalist)와 포토그래퍼(Photographer)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철저하게 취재하면서도 대상이 되는 사건뿐만 아니라 이슈 자체를 깊이 있게 이해하여 적절한 비주얼 스토리텔링(Visual Storytelling)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강 기자는 “정직하게 객관성을 유지한 정보만을 담아야 진정한 포토 저널리스트의 사진”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한국으로 돌아와 전국 곳곳의 사진을 찍으며 'Visual History of Korea Vol.1' 출판을 준비하고 있다. 강 기자는 “우리 역사에 아름답고 위대한 문화가 많은데, 영어권을 비롯한 세계에서 잘 모르는 것이 안타깝다”며 “우리 문화의 위대함을 세계에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강 기자는 미국 LA타임스를 거쳐 AP통신과 로이터통신에서 근무했으며, 1993년과 1999년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그는 현재 Visual History of Korea의 칼럼니스트이자 포토 저널리스트로 일하고 있다.

강형원 기자가 촬영한 
강형원 기자가 촬영한 성덕대왕신종. [강형원 기자 제공]

한편 ‘퓰리처상을 빛낸 사람들: 기자정신’ 특강은 오는 4월 9일과 23일 최상훈 기자와 김경훈 기자가 강연을 이어 간다.

키워드

#퓰리처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