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생활 체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지원 확대 △지방 체육 조직의 전문성 제고 △생활체유과 엘리트 체육의 연계 필요 등을 정책적 방향으로 제시했다. 물론 생활 체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인식의 전환이 바탕을 이뤄야 한다.
  우리나라에는 생활체육을 할 공간이나 마땅한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지않다. 반면 미국은 대통령 직속 기구인 ‘체력 스포츠 자문위원회’를 운영하며, 덴마크는 인구 500명당 다목적 스포츠 센터 한 곳을 운영해 국민들에게 스포츠 시설 이용 문턱을 낮췄다.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이용식 연구원은 “기존의 공급자위주에서 벗어나 수요자위주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때”라며 “물리적인 생활체육 시설뿐 아니라 결혼이민자를 위한 생활체육 프로그램 개발 등 소프트웨어 적 측면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전했다.
  보다 수준 높고 실질적인 생활체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체육 행정에 유능한 전문 인력을 선발해 전담기구에 배치해야 한다. 또한 외부의 전문가들에게 적극적으로 자문을 구할 필요도 있다. 용인시탁구협회 서강진 회장은 “현재의 체육 행정은 부처간 업무 중복과 비효율적인 분담으로 이줘지고 있다”며 “체육 행정을 일반적인 행정업무와 분리해 별도의 영역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생활체육의 일상화되면 자연스럽게 엘리트체육이 발전한다고 전했다. 은퇴한 엘리트체육 선수들이 생활체육 지도자 등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폭도 넓어진다. 정영린(관동대 스포츠레저) 교수는 “효율적인 생활체육 지도를 위해 우수 선수 출신과 같은 경력직 강사풀을 조성해 지방자치단체의 실정에 맞게 관리하고 지원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현정(원광대 스포츠과학) 교수도 “단순히 생활체육 기회와 시설 뿐 아니라 관련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스스로 생활체육에 따른 효용을 느끼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