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염소와 젖소가 한 우리 내에서 혼용 사육되고 있다
▲ 지난 23일에 찾은 삼정 더파크. 주행성 동물 우리 내부에 조명이 설치돼 있다
▲ 삼정 더파크 내 나무가 잘려있는 모습

 

‘삼정 더파크(The Park)’는 부산광역시 유일의 동물원이다. 2014년에 개장된 후로 △동물학대 △불법시설 △환경 훼손 △값비싼 이용 요금 등에 관한 문제 제기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각종 시민단체와 시의원이 부산광역시의 행정을 비판했다.

더파크, 시작부터 현재까지

 

삼정 더파크(이하 더파크) 조성 사업은 착수 단계부터 원활하지 않았다. 사업은 2004년 11월에 시작됐으나, 자금 조달 등의 문제로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다. 이후 더파크 설립 인가가 취소될 위기도 있었지만 <동물원 사업 정상화를 위한 협약 동의안>(이하 협약)이 맺어지면서 더파크 사업이 재개됐다. 협약은 시행사 (주)더파크와 시공사 삼정기업 간 더파크 사업재개를 위해 체결된 것으로, 더파크 준공을 기점으로 3년 이내에 부산광역시(이하 부산시)에 매수를 요청할 시 부산시가 매입자를 찾아야 하는 내용이다. 따라서 제3자의 매입자가 없을 경우, 부산시가 매입 금액 범위인 약 500억 원을 들여 더파크를 매입해야 한다.

더파크가 운영난에 시달리면서, 3년이 가까워 오자 부산시에 500억 원의 매수요청을 했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더파크 인수 시기를 3년 연장하기로 했다. 이 같은 결정에 대해 시의원과 시민단체 등이 비판을 가했다.

 

동물을 위하지 않는 동물원?

 

더파크는 △조명 설치 △혼용 사육 △식사량 등으로 동물학대 논란이 일었다. 2015년에는 더파크의 운영시간이 문제가 됐다. 동물원을 오후 9시까지 운영하면서 설치한 우리(Cage) 내부 조명은 주행성 동물의 생태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행위라는 비판이 있었기 때문이다. 현재 더파크는 오후 6시까지 운영되나, 여전히 주행성 도마뱀인 ‘필리핀 세일핀 리자드’ 등의 우리 내부에는 설치된 조명이 불빛을 비추고 있다. 부산동물학대방지연합(이하 동물연합) 김애라 대표는 “주행성 동물의 경우 조명의 영향을 많이 받아, 그에 따라 정신적·육체적 건강이 좌우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더파크가 작년 7월부터 한동안 야간개장을 시행한 것에 대해 “조명에 의한 스트레스로 동물들이 고통을 겪었을 것이다”고 전했다.

작년에는 혼용 사육이 문제가 됐다. 혼용 사육은 서로 다른 종을 한 우리 내에서 사육하는 것이다. 부산시의회 박재본 시의원은 “더파크 내 염소, 젖소 등을 혼용 사육하는 공간이 협소하고 좁다”며 “젖소가 먹이를 제대로 못 먹어 뼈가 앙상하다”고 전했다. 김애라 대표는 “먹성이 좋은 염소와 젖소를 혼용 사육하면, 젖소가 제대로 먹지 못해 굶주리는 상황이 발생한다”고 혼용 사육의 문제를 짚었다. 최근까지도 더파크는 혼용 사육을 행하고 있었다. 더파크를 찾은 관광객 김윤경(경기도 이천시, 22) 씨는 “혼용하는 모습을 보자마자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다”며 “물을 공동으로 마시니까 못 마시는 동물도 있었다”고 말했다.

또한 시민단체는 더파크 내 동물 식사량과 미니말 라이딩을 문제로 꼬집었다. 식사량에 관해 더파크 내 동물들이 많이 말랐고 폐사까지 하고 있다는 기사가 보도되기도 했다. 김애라 대표는 “재정난으로 인해 제대로 된 사료가 지급되지 않는 것 같다”며 “그 때문에 폐사에 이른 것이라면 이것은 동물 학대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작년 5월 <동물원 및 수족관의 관리에 관한 법률>을 개정했지만, 체험동물의 휴식시간 등에 관한 규정이 없다. 때문에 미니말 라이딩과 같은 체험동물 프로그램이 더파크에서 시행되고 있다. 김애라 대표는 “기본적으로 동물을 체험에 이용하는 것은 어떤 형태든 동물에게 큰 고통과 부담을 주므로 앞으로 지양해야 할 일”이라고 전했다.

이어 동물연합은 더파크 개장 초기부터 △경영진의 동물에 대한 부족한 지식 △열악한 재정 △협소한 시설 때문에 동물이 스트레스 받거나 죽어 나가는 일이 종종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김애라 대표는 “동물체험이나 먹이주기체험, 좁은 우리 등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점이 더파크 측의 낮은 동물복지 인식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요금, 환경, 시설 모두 문제돼

 

더파크의 요금과 편의 관련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현재 더파크의 요금은 △성인 19,000원 △청소년 17,000원 △어린이 15,000원이다. 타 지역 동물원의 입장료는 무료인 곳이 많고, 요금을 받는 곳도 더파크에 비해 저렴하다. 서울어린이대공원의 경우에는 대인 7,000원과 소인 5,500원으로 입장료가 책정돼 있다. 이에 박재본 시의원은 “동물원은 보통 3~4인 가족이 놀러 가기에 입장료가 비싸면 부담이 된다”고 말했다. 시민 A 씨는 “이용요금에 비해 볼거리가 없다”고 말했다. 또한 편의 문제도 존재했다. A 씨는 “버스가 없어서 걸어 다녀야 한다”고 불편을 전했다. 김윤경 씨는 “울타리가 너무 낮다”며 “타 동물원에 비해 동물과 사람 간 거리가 가까워 위험을 느꼈다”고 말했다.

더파크에서 주변 환경을 훼손한다는 논란도 있었다. 최근 공사를 실시한 더파크 내부에는 잘린 나무들이 거리에 늘어져 있었다. 더파크 관계자는 “최근 공사가 시작됐으며 한 달 정도 진행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2015년 한 시민단체는 더파크가 2013년 4월부터 2014년 4월 초까지 1년여 동안 공사를 하면서 무려 15개 지역 6만1,660㎡에 걸쳐 60〜70년생 소나무, 편백나무, 삼나무들을 뿌리째 잘라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또한 2015년 부산시가 적발한 더파크 내 불법시설은 92건에 이르렀다. 불법시설 중에는 부산시의 허가 없이 무단으로 설치한 시설도 포함된다. 이에 더파크 측이 벌금을 선고받고 원상복구 명령을 받았으나, 작년 12월 불법시설에서 입장객이 중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부산경실련) 이훈전 사무처장은 “더파크 불법행위를 부산시가 방조했기에 시민단체가 부산시를 고발하게 됐다”고 전했다.

 

부산시의 적극성 요구하는 시민들

 

부산시의 더파크 연장 운영 결정에 관해 부산지역 내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지난 22일 부산경실련을 포함한 시민단체 모임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가 부산시를 고발했다. 부산경실련 이훈전 사무처장은 3년 연장을 한 뒤 운영을 계속 삼정기업 측에 맡길 것이라면 부산시가 다른 조건을 제시했어야 했음에도, 그 같은 장치 하나 없이 진행된 것을 문제로 꼬집었다. 또한 부산시가 더파크 요금 인하를 확답받지 못한 것을 지적했다. 부산시 측에서 더파크 측의 부채 이자율을 낮춰주는 협상을 제시했다면, 그에 따른 대가로 요금 인하를 받았어야 했다는 것이다.

더파크의 존재 필요성에 대한 문제를 짚기도 했다. 시민단체는 △동물원의 필요성 △부산시민의 동물원 수요 △타 지역보다 높은 동물원 입장 비용을 문제로 꼽았다. 이훈전 사무처장은 부산시의 예산 부족으로 더파크 운영을 민간업체에 맡기는 것이라며 “시민들이 알아서 돈을 지불하고 이용하란 것은 사실상 무책임한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서로 책임회피를 그만하고 이에 대한 해답을 줘야한다”고 전했다. 박재본 시의원 역시 값비싼 입장료를 문제로 지적했다. 박재본 시의원은 “환경시설공단 같은 곳에 더파크를 위탁하면 더 잘 운영해나갈 것이다”며 “시가 관리하면 입장료도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동물연대 역시 부산시의 적극적인 행동을 요청했다. 부산시가 제대로 된 관리감독을 하지 않는다면, 동물 학대에 대한 논란은 계속 발생할 것이라 말했다. 김애라 대표는 “기업이 동물복지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투자 및 운영을 하지 않는다면 부산시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시청 관계자는 더파크의 3년 운영 연장 이유로 “당장 500억이란 돈을 가지고 있지 않다”며 “또한 3년 후에 제3자가 매수요청을 할 수도 있다”라고 밝혔다. 더파크 시설 관리에 대해선 연장 후 △시설공단에 위탁 △부산시의 직접 운영 등을 검토할 기간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