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시내 뒤편에 우뚝 솟은 산이 하나가 있다. 그 산이 남원의 진산인 교룡산이다. 교룡산에는 교룡산성이 있고 고즈넉한 산을 천천히 올라가면 선국사라는 절이 있으며, 그곳에서 조금 올라가면 은적암이라는 옛 암자 터에 닿는다. 
  동학을 창시한 수운 최제우 선생이 고향인 경주 일대에서 사대부들로부터 핍박을 받자 전라도 남원으로 피신, 이 암자에서 8개월여를 머물렀다. 그때 동학의 주요저서들인 △<도수사(道修詞)> △<동학론(東學論)> △<권학가(勸學歌)>를 지었으며, 자신이 창시한 도의 이름을 당시 널리 퍼져 있던 서학西學(천주교와 기독교)에 비견하여 동학(東學)이라 지었다. 
  은적암에 거처하고 있던 어느 날 노스님 한 분이 수운을 찾아왔다. 송월당(松月堂) 스님이었다.
  수운이 보통 사람이 아닌 것을 알고서, 수운과 담론을 즐기기 위해서 찾아 온 노스님은 수운에게 다음과 같이 물었다. “선생은 불도(佛道)를 연구하십니까?” 수운이 대답했다. “예, 나는 불도를 좋아합니다”
  “그러면 어찌하여 중이 되지 않으셨소?” “중이 아니고서도 불도를 깨닫는 것이 좋지 않소?” “그러면 유도(儒道)를 좋아하십니까?” “나는 유도를 좋아는 하지만 유생(儒生)은 아닙니다” “그러면 선도(仙圖)를 좋아합니까?” “선도를 하지는 않지만 좋아는 하지요” “그러면 무엇이란 말씀입니까? 아무것도 하는 것이 없이, 아무것이나 다 좋아한다 하니 그 말의 뜻을 알아들을 수가 없습니다...” 그 말을 들은 수운이 스님에게 물었다.“스님은 두 팔 중에 어느 팔을 배척하고 어느 팔을 사랑하는지요?”
  노승은 그때서야 그 말의 뜻을 깨닫고서, “예, 알겠습니다. 선생은 온몸을 사랑하는 분이시군요!” 스님의 말에 수운은 다음과 같이 답했다.
  “나는 오직 우주의 원리인 한울님의 도(道), 바로 그 천도(天道)를 좋아할 뿐입니다” 이 말을 들은 노스님은 감복하여 한참 동안 말을 잊고 있었다.
  훗날 제자들이 수운에게 물었다. “은적암 노승에게 왜 도를 전하지 않으셨습니까?”수운의 대답은 이러했다. 
  “이미 물든 종이는 새로운 그림을 그리지 못하나니, 노승은 이미 물든 종이라, 건지려면 찢어질 뿐이니 그대로 두는 것이 도리어 옳지 않느냐”  
  이미 물든 종이를 건질 수는 없다. 맞는 말이다. 습관이 오래 되면 품성이 된다. 그렇게 오래된 품성을 바꾸는 것은 심히 어렵다. 오죽했으면 ‘품성은 문으로 쫓아내면 창문으로 들어온다’는 말이 있을까? 수운 선생의 말과 같이 아무것도 물들지 않은 마음의 종이에 새로운 물을 들이는 것 그것이 오히려 현명한 방법이고, 중요한 것은 어릴 때부터 좋은 습관을 길들이는 것이리라. 
  수운선생이 깨달음을 얻고서 한울님으로부터 처음으로 들었다는 말이 ‘오심즉여심(吾心卽汝心)’이라는 말이다. 
  ‘마음이 서로 통한사람’ 풀어 말하면 ‘내 마음이 네 마음이고, 네 마음이 내 마음이다’ 서로 같은 마음이 된다는 것은 몸이 하나가 된다는 것보다 훨씬 더 깊은 관계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겨우 한 가닥 길을 찾아 걷고 걸어서 험한 물을 건넜다. 산 밖에 다시 산이 나타나고 물밖에 또 물을 건넜다. 다행히 물 밖의 물을 건너고 간신히 산 밖의 산을 넘어서 바야흐로 넓은 들에 이르자 비로소 큰 길이 있음을 깨달았네’ 수운 선생의 시 한 편이다.
  이처럼 가고 또 가야 하는 인생길에서 ‘온 마음을 모두 주어도 아깝지 않은 사람’, ‘온 몸을 기댈 수 있는 사람’이 몇 사람이나 있는가?
 
신정일 작가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