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학생회는 대체 뭘 하고 있는 거야?’총장직선제를 위한 교수회 비상대책위원회의 농성장에서 한 교수는 이렇게 질타했다. 그 말속에는 총장직선제를 위한 싸움에 나서주지 않는 학생들에 대한 실망과 원망이 뒤섞여 있었다고 본다. 그의 질타처럼 학생들이 본격적으로 총장직선제를 위한 투쟁대열에 합류한 것은 고 교수님이 그렇게 가신 뒤였다. 교수들이 ‘학생들이 좀 더 일찍 나서주었다면…’하는 심정을 가지는 것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솔직히 죄송스럽다. 고인이 가신 뒤의 대학본관 앞에서 취재를 할 때면, 가끔 나도 모르게 눈시울이 붉어져 하늘을 바라보곤 했다. 하지만 마음 한구석에 의문은 남는다.

총장직선제를 위한 싸움은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이었던가. 잠깐 시간을 되돌려보자. 마지막으로 직선제로 총장 선거가 치러졌던 2011년 말. 선거가 치러지기 불과 몇 달 전의 학생총회에서 ‘총장 선출권 쟁취’가 의결됐지만 총장 선거에 학생은 없었다. 좀 더 거슬러 올라간 2007년. <부산일보>에 따르면 당시 교수회는 투표권을 요구하는 학생들에게 <교육공무원법> 때문에 학생 참여는 힘들다고 답했다. 경상대, 한국해양대, 경북대 등은 학생을 포함해서 선거를 치렀던 것 같은데 그새 법이 바뀌기라도 한 모양이다. 이번에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는 80% 이상의 학생들이 학생에게도 투표권이 있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아마 교수총투표에서 직선제를 유지하자고 했던 비율과 비슷할 것이다. 그동안 학생들은 일관성 있게 투표권을 요구해왔고, 투표권은 일관성 있게 주어지지 않았다. 직선제가 대학 민주주의의 상징이라고들 한다. 그렇다면 우리 학교의 민주주의는 고대 아테네의 민주주의와 비슷한 종류로 이해하면 되는 것인가?
다행히 이번에는 희망이 보이는 것 같다. 학생 투표권이 이번에야말로 보장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이 올라오고 있다. 총학생회도 학생 투표 반영을 내걸고 나섰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의문도 제기된다. ‘총장 선거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보장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관심과 참여. 민주주의에서 아주 중요한 문제다. 마침 선거 시행 세부규정 마련도 머지않았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닭이 먼저인지 달걀이 먼저인지 따져보고자 한다. 학생들의 관심을 담보할 수 없으므로 투표권을 주어서는 안 되는 것일까. 아니면 투표권이 없었기 때문에 학생들이 관심을 가질 수 없었던 것일까. 닭과 달걀처럼 이 질문에도 정답은 없다. 사람에 따라 좀 더 일리 있어 보이는 말이 있을 뿐이다.
분명 구성원들의 단결과 화합이 필요한 시기이다. 우리 학교 구성원들에게는 공동의 적이 있다. 대학본부가 그토록 강경했던 것도 그 뒤에 서있는 거대한 무언가 때문이 아니었던가. 그러니 적어도 2013년 경북대의 모습은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이다. 직선제냐 간선제냐를 놓고 전투가 벌어지는 와중에, ‘어차피 뭘 해도 학생이 배제되는 건 마찬가지 아니냐’고 기자회견을 하는 총학생회는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그런 일을 막기 위해서라도 교수들에게 간절히 부탁한다. 이번만은 학생들의 목소리를 외면하지 말아 달라. 대학 민주화라는 직선제의 상징성을 위해서라도, 외연 확대가 필요한 시점임을 잘 알고 있지 않는가. 그리고 학생들에게 부탁한다. 총장을 선출할 권리, 그것을 찾는 것은 결국 우리 스스로의 몫이다. 권리를 찾기 위한 길에 함께 해 달라.
 

김민관 기자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