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대학은 재수강 시 받을 수 있는 최대 학점이 A0라던데, 왜 우리학교는 B+ 까지밖에 안돼?” 흔히 들려오는 우리학교 학생들의 불만사항 중 하나다. 학점의 중요성이 날이 갈수록 높아지면서 학점관련제도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높다. 하지만 대학마다 재수강 제도의 기준과 학점포기제도 시행 여부가 달라 이에 대한 논란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학마다 제한 학점도, 학생들 반응도‘ 제각각’

▲ <국내 대학 재수강제도 현황>

우리학교 학부생은 학점이 C+이하일 경우 재수강이 가능하며, 재수강 시 받을 수 있는 최대 학점은 B+로 제한돼있다. 현재 유지되고 있는 재수강 제도는 2005년도부터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수강 제도는 일정한 기준이 없어 대학 자체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연세대와 고려대는 재수강 이후 취득성적 상한 학점이 A0이며 서울대, 강원대, 전북대는 아예 성적 제한을 두고 있지 않다. 이들이 취득 성적에 제한을 두고 있는 이유는 대부분 학점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함이었다. 경북대의 경우 교양과목에만 B+의 제한을 두고있다. 경북대 학사과 관계자는“ 교양과목의 경우 학점 인플레이션을 방지하기 위해 제한을 뒀다”며“ 전공과목에서는 지금까지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성적 제한을 두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임선혜(경북대 경제통상학부 2) 씨는“ 전공과목의 성적을 높일 기회라 성적 제한이 없다는 점에서 이득이 된다”고 말했다.

우리학교의 경우, 재수강 이후 취득할 수 있는 최대 학점이 B+로 낮은 편이라 다른 학교 졸업생들에 비해 낮은 학점을 받는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유진(경영 2) 씨는“ 타 대학에 비해 재수강 취득성적이 낮아 취업할 때 불리할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김도연(무역 2) 씨는“ 만약 A까지 허용하게 되면 재수강자들이 이득을 볼 것 같다”고 전했다.

대학 본부 측은 첫 수강자와 재수강자에 대한 차이를 두는 것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학사과 하진희 씨는“ 재수강자는 점수를 더 잘받게 되기 때문에 최초 수강하는 학생들의 상대적 손해를 막기 위함이다”며“ 등급에 차이를 두는 것은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 권순복(언어정보) 교수 역시“ 일종의 패자부활전인 재수강제도에서 A학점 이상을 주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통일되지 않은 재수강 제도에 대한 기준안을 정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됐다.권경근(국어국문) 교수는“ 재수강 제도의 성적 취득에 있어서 어느 정도가 적절한지 다른 대학과 비교를 하고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학점관련 제도, 개선방안 마련 시급한 실정

한편 지난달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 교육부는 각 대학에 무분별한 재수강 제도와 학점포기제를 막기 위하여 학생성적 관리 개선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대학들도 일명‘ 성적 세탁’을 막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최근 대학들은 재수강제도의 취득성적 상한을 낮추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여태까지 재수강 자격과 취득성적 상한 모두 성적 기준에 제한이 없었던 전북대의 경우 취득 성적에 제한을 둘 계획이다. 전북대 학사과 이영환 씨는“ 학점 인플레이션에 대한 문제는 없었지만 많은 학교의 추세를 따르고자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재수강 자격에 제한을없애면 재수강을 하려는 학생들이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재수강하는 학생들이 늘면 처음 수강자들이 좋지 못한 성적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박영진(부경대 경제 2) 씨는“ 재수강 학생들만 모두 좋은 성적을 받게 될 것 같아 걱정된다”고 말했다.

또한, 무분별한‘ 학점 부풀리기’를 방지하기 위해 대학은‘ 학점포기제’ 폐지를 강구하고 있다. 학점포기제는 이미 취득한 학점을 포기하고 새로운 학점을 취득할 기회를 얻는 것을 말한다. 포기한 학점은 졸업성적산출 시 성적기록서에 기록이 남지 않는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는 전국 337개 대학 중 75.6%의 대학이 이러한 학점포기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취업용 성적 증명서를 발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학교는 2004년까지 이 제도를 시행했다. 학생들의 성적이 C0 이하일 경우, 본인의 의지에 따라 학점을 포기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정작 학점을 삭제한 이후, 취득 학점이 부족해 졸업이 안 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하진희 씨는“ 학생들이 성적을 임의로 삭제하다보니 강의의 질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도 있어 해당 제도를 폐지했다”고 말했다.

‘학점세탁’에 대한 논란이 계속해서 불거지자, 최근 서울 시내 30개 4년제 대학 중 애초부터 학점포기제를 실시하지 않았던 12개 학교를 제외한 나머지 대학 중 13곳이 학점포기제를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대학들은 성적기록서에 F학점을 지우지 않는 개선안도 마련하고 있다. 부경대 학사관리과 김경옥 씨는“ 개선방안의 일환으로 성적 증명서에 F학점을 표시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