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는 결국 ‘유치 실패’로 막을 내렸다. 그간 필자를 포함한 <채널PNU> 소속 학생기자들에게도 관계 기관으로부터 여러 질문이 들어왔다. 엑스포 유치에 대한 부산 ‘미래 세대’의 의견이 궁금하다는 거였다. 곧 사회로의 진출을 앞둔 우리는 대부분 엑스포 유치를 통해 소멸하는 부산에서 청년들이 나아갈 수 있는 입지가 마련되길 희망한다고 답했다.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각한 가운데 엑스포가 창출할 여러 효과로 부산에서 터를 잡고 계속 살아갈 수 있을 것이란 기대에서다.

실제로 많은 전문가들은 엑스포가 유치되면 쇠퇴의 길을 걷는 부산이 다시 한번 살아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현재 수도권 집중화로 인해 ‘제2의 도시’라는 타이틀마저 희미해지고 있는 부산에서, ‘세계 3대 메가 이벤트’인 엑스포가 유치되면 수십조 단위의 경제 효과는 물론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인프라 구축에 힘이 실릴 수 있다는 관측이었다. 엑스포의 유치는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할 해답이자 어느새 국가적 과제로 자리매김했다. 전문가들은 가장 큰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세대가 필자를 포함한 청년 세대라고 말했다. 일자리 부족을 이유로 수도권으로 향할 수밖에 없는 지역의 미래 세대에게 엑스포 유치는 부산을 떠나지 않을 수 있는 희망이었던 셈이다.

비록 엑스포 유치는 실패했더라도 기성세대가 엑스포 유치 시민 운동을 계기로 미래 세대에게 들었던 바람은 실현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래 세대가 엑스포 유치 성공을 기원했던 이유를 계속해서 주목했으면 한다.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단순한 ‘엑스포 유치 성공’이 아니라 그로 인해 기대할 수 있었던 ‘지역 청년들의 삶과 환경 개선’임에 집중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엑스포 유치에 실패했을지라도 지역 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한 국가와 지자체 차원에서의 노력을 멈춰서는 안 되는 이유다.

엑스포 유치는 지역 소멸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 균형발전으로 빠르게 나아가기 위한 ‘최적의 답’이었을 뿐, ‘유일한 답’은 아니다. 둘러 가더라도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움직임이 필요하다. 엑스포 유치 여부와 관계없이 부산시와 정부가 부산을 포함한 지역의 인프라 구축 및 일자리 창출 등의 당면 과제를 소홀히 하지 않길 바란다.

특히 엑스포 유치를 전제로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던 기존 부산의 숙원 사업인 가덕도 신공항 건설, 연결 도로망 확충 등에 차질이 생기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해소할 수 있도록 신경을 기울여야 한다. 엑스포 유치 경쟁에 뛰어들지 않았더라도 균형발전을 위해서라면 해냈어야 할 국가적 과제다. 마땅한 직장을 찾아 서울로 떠날 수밖에 없다는 부산 청년들의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서도 사활을 걸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2030 월드엑스포 슬로건은 ‘부산 이즈 레디(Busan is ready)’였다. 엑스포 유치를 염원하는 시민들은 세계 곳곳에서 ‘부산 이즈 레디’를 외쳤다. 이 준비가 2030 월드엑스포 유치만을 위한 허울 좋은 명분상의 준비가 아니었길 바란다. 원한다면 엑스포는 다음에 얼마든지 다시 도전할 수 있다. 중요한 건 부산이 엑스포 유치 여부에 구애받지 않고 ‘제2의 도시’ 명성을 되찾을 수 있도록 국가적으로 제대로 된 대응책을 강구해야한다는 것이다.

윤다교 부대신문 국장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