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구원, 대책 보고서 발간
-방사능 농도 변화는 미미하나
-삼중수소 등 체내 안전성 '미궁'
-시민교육·수산물 검역 보완책 제시

지난 8월 24일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시작됐다. 오염수 방류는 향후 30년간 이어질 예정이다. 이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인근 국가의 불안감이 최고조로 치닫고 있다. 특히 해양도시인 부산에서는 일본 오염수 방류에 반대하는 시위와 농성이 이어지며 우려의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온다.

부산시는 방류 이전부터 제기된 오염수 우려에 지난 4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한 부산시의 대책 보고서’를 발간했다. 시의 지원으로 부산연구원이 연구를 주관했다. 오염수의 방류 자체를 막는 것이 최선의 방법으로 꼽혔으나 지자체가 해결할 수 있는 범위는 아니었다. 이에 연구진은 일본 오염수 방류 이후 부산시의 대응 방향을 중점으로 지난 5개월 간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은 일본이 제공한 정보가 부족해 실험에 한계가 있으나 신체에 미칠 안전 우려가 여전하다고 설명하며 방사능 시민 교육을 강화하고 수산물 검역센터를 설립하는 것을 대응 방향으로 제시했다. 지난 8월 17일 <채널PNU는> 보고서의 연구 책임자 남호석 연구위원을 만나 이번 보고서에 대해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다.

■농도는 그대로지만 안전은 미지수

일본 오염수 방류 이후 바닷물의 방사능 농도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연구원의 오염수 방출 실험 결과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부산 해양의 방사능 농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2016년부터 2020년의 부산 표층 해수의 방사능 농도와 비교했을 때 세 가지 핵종(△삼중수소 △세슘 △스트론튬)의 농도가 작게는 몇 배에서 크게는 몇 백배 낮은 수준으로 분석됐다.

실험은 국내 및 해외의 오염수 방류 시뮬레이션 연구 결과를 부산 해양 근처로 재구성하는 과정으로 진행됐다. 총 7개의 시뮬레이션이 포함됐으며 64가지의 핵종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삼중수소 △세슘 △스트론튬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시뮬레이션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 당시의 사례를 대입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원자력연구원 △중국 칭화대학 등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남 연구위원은 바다가 순환하는 특성을 이유로 꼽았다. 일본에서 오염수가 방류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전반적 방사능 수치 자체는 자연스레 안정된다는 것이다. 부산연구원 남 연구위원은 “바닷물은 욕조처럼 단순히 고여 있는 구조가 아니다”라며 “일본에서 바닷물보다 농도가 낮은 오염수가 방류된다면 해류를 거쳐 순환하기에 농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보 부족해 연구 '한계'

농도 자체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렀으나 보고서는 오염수 방류에 있어 아직 우려되는 부분이 많다고 밝혔다. 시뮬레이션의 정확도를 확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핵종 데이터 부족 △다핵종제거설비(ALPS)의 정화 능력 의심 △샘플 채취 문제 등이 변수로 꼽힌다. 남 연구위원은 “일본은 핵종 정화를 위해 다핵종제거설비(ALPS)라는 처리 공정을 거치고 있다”며 “하지만 처리 후 처리도상수의 자세한 핵종별 비율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는 공개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이 제시한 처리 후 고시농도에서도 (핵종 중 하나인) 삼중수소는 제외돼 그 부분에서도 우려 사항이 있다”고 밝혔다.

방사능 농도와는 별개로 신체에 영향을 미치는 안전도에 대해서도 우려를 감출 수 없다는 분석이다. 방류되는 오염수에 포함된 삼중수소의 경우 안전 기준에 맞게 희석한다고 해도 수산 식품 등을 통해 몸에 들어갔을 때 위험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물고기 중 회유성 어류의 경우에는 한자리에 있지 않고 계속 돌고 도는 성향을 보이는데 이런 것들이 수입됐을 때 방사능이 어느 정도로 축적되어 있을지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남 연구위원은 “이런 어류들을 먹고 암에 걸릴 확률은 1% 미만으로 낮다”면서도 “극단적으로 생각했을 때 섭취 후 암에 걸려도 입증할 방법이 없다”고 우려를 표했다.

부산시는 현재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모니터링과 해수 방사능 검사를 계속해서 진행하는 중이다. 남 연구위원은 “부산시가 시민들의 안심을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고 있고, 그렇게 하는 게 당연한 시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이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응 방안은 수산물 검역 센터를 설립하는 것”이라며 "오염수 방류 시 수산물에 대한 소비가 위축될 수 있기 때문에 수입에서 유통까지 일원화된 관리체계를 통해 책임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시민 86% ‘오염수 위험 심각하다’

한편 부산 시민 1,800여 명을 대상으로 2023년 1월 25일부터 2월 3일까지 실시한 부산연구원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다수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에 부정적이었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위험도 인식 조사 항목에서 △매우 심각하다(51.9%) △심각하다(34.9%)를 합쳐 응답자의 86.8%가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원전 오염수 방류가 건강을 위협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건강 위협 요인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원전에서 지속적인 방사성 물질 생성(35.3%)'이 가장 높았고 ‘무조건 위험(34.1%)'이 뒤를 이었다.

수산 식품 및 해양레저에 관한 시민들의 우려도 거셌다. 수산 식품의 경우 오염수를 방류할 시 ‘소비를 줄일 것’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국내산(77.2%) △수입산(91.0%) △일본산(96.5%)에 달했다. 기숙사 생활을 하고 있는 A(약학부, 23) 씨는 “수산 식품 소비를 일주일에 3-4번 정도로 자주 하는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후에는 그 정도로는 못하겠다"며 “소비를 하더라도 마음이 불안할 거 같다"고 말했다. 

해양레저 역시 마찬가지였다. 소비를 줄이겠다는 의견이 80% 이상이었다. 평소 부산 해안에서 해양레저를 즐기는 김용우(해양학, 21) 씨는 "해양레저는 바다를 직접 몸으로 느끼는 만큼 더욱이 수질오염 상태에 대해 민감할 수밖에 없다"며 "방사능의 위험 수준이나 농도 등 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 당연히 해양레저에 반감이 들 것"이라고 말했다.

남 연구위원은 이러한 거센 여론의 원인 중 하나로 방사능에 대한 정보 부족을 꼽았다. 방사능은 자연에 항상 존재해 무조건적으로 위험한 것은 아니나 방사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에 불안감이 높은 건 당연하다는 것이다. 남 연구위원은 “현재 부산시는 수산 식품 등에 방사능 농도를 고시하고 있다"며 “다만 시민들이 어느 정도의 방사능 농도가 위험한지 알지 못한다면 소용이 없기에 방사능 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