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공간 확보 문제화

 대학 본부(이하 본부)와 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이하 비정규교수노조)이 지난 9월부터 시간강사 임금 및 연구 공간에 관한 교섭을 벌이고 있다. 다음 달 5일이 최종 협상일으로, 비정규교수노조는 기한 내에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파업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

본부와 비정규교수노조의 임금 교섭은 수업 시수 당 임금을 받는 시간 강사들의 임금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매년 이뤄지고 있다. 지난 16일부터 부산지방노동위원회(이하 지방노동위)의 중재로 진행되고 있으나 당초 조정 기간인 10일 내에 타결이 이뤄지지 않아 최종 협상일이 10일 뒤로 연기됐다. 이에 따라 본부와 비정규교수노조는 오는 12월 5일까지 교섭을 마무리하기로 합의한 상태다. 
 
강의 환경과 연구 환경까지 함께 논의되는 단체교섭과 달리, 임금 교섭에서는 임금 기준에 관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논의하는 것이 일반적 관행이다. 하지만 올해는 비정규교수노조 측의 요구로 시간강사의 연구 공간 확보 문제도 함께 논의되고 있다. 이번 학기 우리학교에서 강의를 진행하고 있는 시간강사의 수는 총 973명이지만 정규 연구 공간은 38석에 불과하다. 비정규교수노조 부산대분회 이상룡(철학) 분회장은 며 “대학 강사들은 연구 결과를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연구자’라는 점에서 초·중·고등 교육기관의 교사와는 차이가 있다”며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연구 공간 확대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실제로, 상당수의 시간강사들은 강사 대기와 학생과의 상담을 위해 각 단과대학마다 설치된 강사 대기실에서 연구와 수업 준비를 하고 있었다. 이에 비정규교수 노조 측은 연구 공간이 부족하다보니 일부 건물에 설치된 강사 대기실에서 수업 준비가 이뤄지고, 자연스럽게 학생과의 상담도 어려워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상룡 분회장은“ 여러 강사가 공동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학생 개개인과 질의응답을 하기가 어렵다”며 “학생을 위해서라도 최소한의 시간강사 연구 공간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비정규교수노조는 지난 20일부터 임금 교섭 결렬 시 파업 돌입에 대한 찬반 투표를 진행하고 있다. 임금 교섭이 결렬될 경우, 최종 협상일 전날인 12월 4일까지 찬반 투표를 진행해 그 결과에 따라 파업에 돌입할 가능성도 있다. 지방노동위가 노사 각 측이 내놓은 안을 수렴한 조정안을 제시하지만 노사 대립이 심할 경우엔 조정안조차 나오지 않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조정안이 나오더라도 노사 중 한쪽이 동의하지 않는다면 협상 타결이 불가능하다. 실제로 지난해 이뤄진 단체 교섭에서는 조정 실패로 강사들이 파업에 돌입하기도 했다. 이상룡 분회장은 “현재 시간강사 인원의 절반 이상이 투표에 참여했고, 최종 협상일인 12월 5일까지 타결되지 않는다면 파업이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며 “본부와 노조가 서로 양보하며 원만한 합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본부 측은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교무처 홍태호(경영) 처장은 “교섭이 진행 중이라 입장을 밝히기가 조심스럽다”며“ 시간강사도 학교의 구성원이므로 최대한의 노력으로 교섭을 타결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