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PR학회, 서울서 기획세미나 열어
-"대중 제대로 알도록 언론 노력 필요"
-정치팬덤·지자체 PR 등 발표 이어져

지난 20대 대선 당시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드는 ‘공약’이었지만, 정작 유권자들은 공약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공약의 내용과 무관하게 후보자를 보고 표를 행사했다는 것이다.

지난 8월 25일 이화여대 이화포스코관에서 한국PR학회 2022년 기획 세미나 ‘정치 PR 커뮤니케이션의 현재 그리고 미래’가 열렸다. 이날 세미나 주제 가운데 ‘20대 대통령 선거에 나타난 이슈 소유권과 프라이밍 효과’의 연구 결과가 이목을 끌었다. 

이슈 소유권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광운대 김상연 교수 [임하은 기자]
이슈 소유권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광운대 김상연 교수 [임하은 부대신문 국장]
기획세미나 참여자 단체 사진 [출처: 한국PR학회]
기획세미나 참여자 단체 사진 [출처: 한국PR학회]

△김상연(광운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교수 △황성욱(부산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교수 △김태완(부산대, 정치외교학 박사)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지난 대선 윤석열 후보와 이재명 후보가 선관위에 제출한 10대 공약 중 각 6개를 꼽아 무작위로 섞은 뒤, 유권자들에게 판별을 요구했다. 보기는 △지속 가능한 좋은 일자리 창출 △수요에 부응하는 주택 250만호 이상 공급 △311만 호 주택공급으로 내집마련·주거안정 실현 등으로 구성됐으며, 응답자는 △윤석열 후보 △이재명 후보 △잘 모르겠음 중 하나를 고를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전체 판별도는 46%로, 유권자들은 개별 공약이 어떤 후보의 것인지 제대로 알지 못한 채 투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문의 정답률이 단순 ‘찍기’에도 미치지 못한 셈이다.

매체별(△지상파 △종편 △유튜브 △기타 소셜미디어 △신문 △라디오) 응답자 중에서는 라디오 이용자(52%)가 판별 정확도 절반을 상회하며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거주 지역별로는 모든 지역(△서울 47% △경기·강원·인천 47% △부산·울산·경남 45% △대구·경북 44% △충청권 48% △광주·전라·제주 44% 등)에서 공약 판별 정확도가 50%를 넘지 못했다.

이날 김상연 교수는 "언론과 학계에서는 대선이 공약 대결의 장이 되도록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유권자들은 지지한 후보의 공약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었다"며 "대중들이 공약의 '알맹이'가 무엇인지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을 다각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교수는 △후보자 간 공약 변별력이 크지 않은 것은 누구의 탓인가 △공약 기반 투표를 위해 유권자들은 지지 후보의 공약 전체를 알아야 하나 △정치적 태도나 신념에 균형이 필요한가 등 다양한 제언 사항을 내놓으며 발표를 마쳤다.

한편, 세미나에서는 김 교수의 발표 외 3개 주제(△K팝 팬덤에게 정치 팬덤의 길을 묻다 △지자체 유튜브 PR활동 평가 및 제언 △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MZ세대의 정치 여론)에 대한 발표 진행 후 전문가 패널 종합 토론이 진행됐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