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균형발전과 대도시혁신정책 대토론회 열려
-이화여대, 중앙대 교수 등 참여해 강조
-"비수도권 쇠퇴하면 나라 지속 불가능"

지방 소멸 및 수도권 집중 현상이 대두되는 가운데 도시계획 및 지역균형발전 전문가들이 우리 대학에 모여 부산을 거점으로 상생하는 새로운 균형발전 전략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정주철(도시공학) 교수(왼쪽부터), 부산광역시 도시균형발전 김광회 실장, 통일한국연구원 한국지리연구소 박상회 소장, 마강래 교수, 박윤미 교수가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이윤서 기자]
정주철(도시공학) 교수(왼쪽부터), 부산광역시 도시균형발전 김광회 실장, 통일한국연구원 한국지리연구소 박상회 소장, 마강래 교수, 박윤미 교수가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이윤서 기자]

지난 4월 29일 오후 우리대학 기계관 대회의실 2층 대강당에서 부산대 통일한국연구원 균형발전연구센터와 한국지리연구소의 공동 주최한 '국가균형발전과 대도시혁신정책 대토론회'(이하 대토론회)가 열렸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과 세종 행복도시 건설 등의 국가 정책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인구 감소와 청년층의 수도권 이전을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도시위기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로 마련됐다.

행사는 통일한국연구원 김기섭 원장의 개회사로 시작해 특별 강연 2개와 종합토론으로 이어졌다. 대토론회에는 통일한국연구원 한국지리연구소 김선엽 소장, 부산광역시 도시균형발전실 김광회 실장, 정주철(도시공학) 교수, 박윤미(이화여대, 미래사회공학부 건축도시시스템공학) 교수, 마강래(중앙대, 도시계획 부동산학) 교수가 참여했다.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부산대 유튜브'로도 라이브 방송됐다.

먼저 마강래 교수는 초광역권 활성화를 위한 두 가지 대전략이란 주제 아래에 부산이라는 도시의 중요도를 강조했다. 마 교수는 수도권이 메가 시티가 되고 비수도권은 점점 쇠퇴하는 현상의 속도가 빨라지면 나라가 지속 불가능하다부산이 어떤 방식으로 발전할 수 있을지 결정하는 것이 나라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산업구조와 인구구조의 변화를 국토 쏠림현상의 원인으로 지적하고 상생을 기반으로 한 거점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박윤미 교수는 대도시의 미래, 축소도시(shrinking city) 지향이라는 주제 아래 도시 쇠퇴의 과정과 문제 등 그 양상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대응으로 축소도시를 제시했다. 또한 미국의 대응과 한국의 대응을 비교하며 우리나라가 만들어 가야 할 전략을 분석, 발표했다.

이어진 종합 토론회에서는 지역 다양성의 문제, 대학의 역할 등 다양한 관점에서 지역 균형 발전 방안이 논의됐다. 이어 도심융합특구, 거점 선정에 따른 갈등 대응, 농어촌 문제 등 온오프라인 청중의 질문에 대한 답변도 이어졌다.

이들은 부산을 거점으로 혁신적인 지역 개발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정주철 교수는 "수도권 대학의 교수들까지 지역 균형 발전에 관심을 갖는 걸 보고 문제의 심각성을 더욱 체감했다""부산이 당면한 문제를 인정하고 도시계획의 새로운 방향성을 찾아 부울경이 연합해서 공유 계획을 갖고 부산은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광회 실장도 "네트워크형 지역 개발을 통해 글로벌한 관점에서까지 개방형 도시 체제를 만들어야 한다""서울과는 또 다르게 부산에서의 혁신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토론회는 지난 1'서울대 10개 만들기'라는 주제로한 첫 번째 토론회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한 것이다. 앞으로도 부산대 통일한국연구원은 올 한 해 국가균형발전이라는 큰 틀에서 지속적으로 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