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언론이 위기다. 지난해 3월 성균관대 학내 신문인 ‘성대신문’이 시간강사 폭행 사건 기사를 게재하려다 주간교수와 마찰을 빚었다. 그리고 ‘성대신문’ 학생 기자들은 자비를 털어 백지 제호 신문을 발행했다. 또 최근 예산 문제로 발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연세대 학내 신문 ‘연세춘추’도 학교 정책에 항의하는 뜻에서 1면 백지 호외 신문을 냈다. 이는 지난해 교과부가 등록금과 잡부금을 분리해서 받으라는 공문을 대학에 내려보냈고, 연세대가 신문 구독료를 잡부금으로 분리해 징수하면서 생긴 일이다. 결국 올해 1학기 서울 신촌캠퍼스 등록 학생 중 17.9%만 구독료를 내 ‘연세춘추’ 는 예산 위기에 놓였다.

게다가 몇몇 대학에서는 총학생회 선거 관련 기사나 학생 권익을 대변하는 기사를 제지하거나 꺼리는 행태도 나타나고 있다 한다. 부산대학교에서도 예산 삭감 문제로 인해 ‘부대신문’ 발행 횟수가 줄어들었다 한다.

도대체 대학이 무엇을 하는 곳인가. 대학은 사회의 축소판으로 학생들이 민주주의를 체험하고 민주시민으로서 갖춰야 할 여러 가지 소양을 배우고 익히는 곳이다. 더 나아가 미래 사회의 주축이 될 지성을 길러 내는 곳이 아니던가. 그러해야할 대학이 민주주의의 바로미터이자 대학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여론화하는 대학언론을 축소하고 편집권을 침해한다는 것이 있을 수 있는 일인지 되묻고 싶다.

대학언론도 엄연히 언론이다. 그러므로 사실 전달과 비판·감시 기능이 살아 있다. 학내 구성원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하고, 그 목소리에 담긴 메시지가 구성원들 사이에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역할을 하는 것도 물론이다. 그뿐만 아니라 대학사회를 비판하고 감시하는 책무가 있다. 그런데 만약 대학 언론이 대학본부의 감시와 눈치를 보게 된다면, 이런저런 이유로 예산이 축소되고 발행 횟수가 줄어들게 된다면 그 피해는 누구에게 오는 것일까. 비판과 감시의 눈이 없어진 대학사회는 부패할 수밖에 없다. 약자와 소수의 의견은 무시되기 십상일 게다. 결국 대학과 대학 구성원이 그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게 될 것이다.

지난 9일 국회에서는 의미 있는 토론회가 열렸다. '대학의 자치권 침해와 대학자치의 필요성'을 주제로 한 토론회였다. 그 자리에서도 대학신문 편집권 침해와 발행 축소를 비롯한 대학 자치권 침해 사례가 발표됐고, 참석자들은 문제의 심각성을 공감했다. 이제 대학언론의 위기는 개별 대학에서 벌어지는 우발적 사건이 아니라 교과부의 잡부금 분리 징수 조치로 벌어진 필연적 결과로 이해되기도 한다. 또 이것은 대학의 자율성과 자치를 뒤흔들 수 있는 무리한 조치라는 우려도 일고 있다. 따라서 교과부는 대학과 대학언론의 자율과 독립을 인정해야 하며 그 첫걸음으로 대학신문 구독료 분리 징수를 해야 한다.

우리 사회가 열악한 지역언론을 보호하기 위해 최소한의 공적 지원을 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또한 대학본부와 구성원들 역시 대학언론의 공공성을 인정하는 한편, 애정 어린 비판으로 건강한 학내 언론을 만들어 나가는데 일조해야 한다. 아울러 대학신문사와 기자는 언론인으로서 소명을 다하기 위해 더욱 정진해야 할 것이다. 대학언론의 위기 는 결국 대학과 우리 모두의 위기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