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대학의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 이러한 위기는 지역거점국립대의 경우에도 예외가 아니다.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발표된 자료에 의하면 우리 대학의 지난해 합격생 10명 중 약 7명이 등록을 하지 않고 떠나고 있다고 한다.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학생들에게 대학 진학은 자신의 인생을 설계하는 첫 단계이자 인생 전반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할 때에는 졸업한 이후 자신들이 실현하고자 하는 미래나 꿈이 투영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최근의 통계는 소위 ‘인 서울’ 대학과는 달리 지역거점국립대는 매력적인 선택지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지역거점국립대의 위기는 단순히 해당 학교의 문제만이 아니다. 지난 수십 년간 지역거점국립대는 국가와 지역의 다양한 생태계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인재를 길러냄으로써 지역의 혁신과 발전의 원동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국가의 균형 발전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다. 결국 지역거점국립대의 위기는 지자체나 지역 산업계의 위기로 이어지고, 궁극적으로 국가 차원의 균형적인 발전을 저해하게 될 것이다. 

수도권 집중 현상과 학령인구 감소와 같은 외부적 환경은 현재 지역거점국립대가 직면한 위기를 초래한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구조적 환경은 짧은 기간 동안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현재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실효성있는 대안은 지역거점국립대가 그 본연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정부의 거시적인 정책이 마련되고 효과적인 지원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지역거점국립대의 지원을 위한 정부의 정책은 그간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되어 왔으나 담론 수준에 머물거나 실질적인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았다. 향후 정책의 방향성을 정립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은 우수한 학생들이 자신들의 안정적 미래를 설계하고 꿈을 이룰 수 있도록 대외적인 기반을 정부 정책으로 수립하고 이를 제도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최근 우리 대학을 중심으로 제안되고 있는 공공기관 지역인재 취업할당제의 확대, 지방 국립대 등록금 인하 및 무상교육 등과 같은 정책은 이와 같은 관점에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학생들이 지역이라는 한계에 얽매이지 않고 수준 높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거점국립대의 학사 시스템 공유를 통한 학사 교류의 확대, 물적 자원의 공동 이용 등과 같은 대학 통합 네트워크의 구축 및 발전에 관한 논의 또한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거점국립대의 위기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국가 차원의 문제이다. 정부의 거시적인 정책의 수립과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