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은 시각적으로 투명한 유리를 알아차리지 못한다. 유리에 반사되거나 투과된 주변 경관이 가짜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 그래서 유리에 반사되거나 투과된 나무나 수풀을 향해 날아가다가 유리창에 부딪힌다. 새는 시속 30~80km로 빠르게 날기 때문에 유리창에 부딪히는 것은 새에게 매우 치명적이다. 유리창에 부딪힌 새들은 두개골 함몰, 안구 손상, 개방성 골절 등의 중상을 입고 대개 목숨을 잃는다.

북미에서는 연구 결과 1년에 10억 마리의 새들이 유리창에 충돌하여 목숨을 잃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립생태원의 조사 결과 연 800만 마리의 새가 유리창에 부딪혀 죽는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는 팔색조 같은 천연기념물, 긴꼬리딱새 같은 멸종위기종도 포함된다. 많은 새가 유리창에 부딪혀 죽고 있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 문제를 잘 모르거나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유리창에 충돌하여 죽은 폐사체가 길고양이나 청소부에 의해 치워져서 잘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새들이 유리를 보지 못하는 것처럼 우리는 이 문제의 심각성을 보지 못한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지금도 새들은 꾸준히 유리창에 충돌하고 있다는 점이다.

새 유리창 충돌 현상을 해결하려면 유리창이 있다는 것을 새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방음벽이나 유리창에 독수리 모양의 까만 스티커가 붙어있는 것을 본 사람이 있다면 바로 그것이 새 유리창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
중 하나이다. 커튼을 치거나 작은 점 스티커를 일정 간격으로 유리창에 붙이는 방법도 있다. 최근에는 자외선을 이용하는 방법도 개발되었다. 새가 자외선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점을 활용해 유리에 자외선 코팅을 하여 새들이 유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반대로 사람은 자외선을 시각적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사람의 시야를 방해하지도 않아 가장 좋은 방법으로 꼽힌다.

하지만 이런 해결방법들이 제대로 시행되려면 무엇보다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바라보고 해결하려고 하는 사람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자발적으로 유리에 점 모양의 스티커를 붙이거나 혹은 기존 유리를 자외선 코팅 유리로 바꾸는 데는 비용과 노력이 수반되기 때문이다.

행동을 강제하는 법 제정도 생각할 수 있는데 여기에도 사람들의 관심이 필요함은 마찬가지이다. 새 유리창 충돌 현상 해결은 미국과 캐나다가 선진국인데 NGO를 비롯한 사람들의 노력으로 뉴욕시에서는 작년 말 새 유리창 충돌을 방지하는 법안이 만들어졌다. 건물을 새로 지을 때 새가 유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인간은 새들이 자유롭게 날아다니던 하늘에 유리라는 덫을 만들었다. 기존의 인간 중심적 개발에 대해 반성하고 공존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새 유리창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우리의 관심이 절실한 때이다. 사람과 새가 공존할 수 있는 도시를 꿈꿔본다.

오금택 (법학전문대학원 석사 19)
오금택 (법학전문대학원 석사 19)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