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의 초입이 시작되던 지난 2월 4일, 제21대 총장이 선출됐다. 故 고현철 교수가 “대학의 민주화가 민주주의의 보루다”라며 직선제를 주장하였고, 전국에서 유일하게 직선으로 선출된 전임 총장의 임명 이후 두 번째 선거를 통해 소중한 대표가 탄생하였다. 

그동안 우리 대학은 최초의 종합 국립대학으로서 74년간 대한민국의 산업화와 민주화를 견인해 왔다. 하지만 지난 몇 년 동안 구성원 간의 소통은 더욱 어려워졌고 거점 대학으로서의 확고한 위상을 바랐던 지역민과 구성원들의 바람은 실망으로 바뀌었다. 또한 학령인구의 감소, 동남권 경제의 쇠락과 대학구성원들의 자신감 상실 등 우리 대학을 둘러싼 여러 여건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어, 오는 5월 12일 취임하는 새로운 총장에게 무거운 책임과 기대가 함께 하는 것도 사실이다.

무엇보다 부산대는 거점국립대들의 맏형으로서 위상을 회복하고 전국 국립대들을 선도해야 할 책무가 있다. 이제까지 맏형이니 중핵대학이니 말은 많이 해왔지만 지난 30년간 문화, 경제, 학술 활동의 수도권 집중이 심화되면서 우리 대학은 국가 균형 발전에 있어서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했다. 신임 총장은 선거 과정에서 거점국립대로서의 위상회복을 제1 공약으로 천명한 만큼 먼저 10여 개의 주요 거점국립대들을 적극 설득하여 우리 대학 내에 연속성이 담보되는 (가칭)거점국립대발전연구소(think tank)와 같은 기구를 설립하도록 힘써야 한다. 이 기구는 참여대학의 본부나 교수회 대표의 변동과 관계없이 구체적인 목표와 계획 속에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진정한 학내 민주화가 실현될 수 있도록 총장의 권한을 분산하여야 한다. 지난 4년간 부산지역 국립대 통합안, 금샘로 노선 확정, 정문 개선, 특수학교 건립 부지 선정, 교수회와의 소통과정 등을 지켜볼 때 과도하게 권력이 총장에게만 집중된 의사결정 구조는 제대로 된 성과 없이 구성원들에게 피로감만 남겼다. 대학기획위원회의 강화, 단과대학장들의 의사결정 존중, 교수회와 긴밀한 협력관계 등이 우선적으로 풀어야 할 과제이며 총장의 권한을 분산시켜 학내 구성원들의 민주적인 의사결정과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

셋째. 학교의 미래를 짊어질 교원 충원 방식에 혁신이 필요하다. 현재 새로 임용되는 교원들에게는 우리 대학의 여건이 결코 매력적이지 않으며 교육과 연구에 탁월한 기존 교원들의 수도권대학이나 특수목적대학으로의 이직이 증가하고 있다. 신규 채용되는 교원은 단순 결원보충을 넘어 그 필요성을 검증하는 공채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며 우수한 교원은 학교가 격려하여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우수 학자를 초빙할 경우에도 상응하는 대우가 따라야 하며 자긍심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우수 교원 채용은 필요성을 검증하는 단계부터 채용까지 혁신적이고 입체적인 방식으로 디자인하고 연구와 교육의 융복합적 성격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년이라는 짧은 임기 동안 현재 우리 대학이 당면하고 있는 모든 문제를 풀 수는 없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우리 대학이 심각한 노화 현상을 맞이하고 있으며 도전을 두려워하는 조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신임 총장은 선거 과정에서 천명했던 거점국립대의 위상회복을 위한 세부 실행 방안을 조속히 구성원들과 공유해야 한다. 현 상황에 대한 철저한 진단과 평가를 통해 구성원들이 현재 우리 대학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학교발전을 위한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도모하여 우리 대학에 활기를 불어 넣어 주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