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총장 선거에서 학생의 투표권 비율을 늘려달라는 학생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우리 학교 총학생회는 학생 투표권을 늘리기 위해 서명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다른 학교에서는 교수가 일방적으로 학생들의 투표권 비율을 정한 것에 반발해 학생들이 교수 회의실을 점거하기도 했다. 대학의 시작점을 고려해보면 이는 이상한 행동이 아니다. 최초의 대학은 이탈리아의 ‘볼로냐’에서 시작했다. 볼로냐에는 유명한 법학자들이 강의하고 있었고 이를 배우기 위해 학생들이 모여든 것이다. 유럽 각지에서 몰려든 학생들은 자체적으로 길드를 만들고 학교를 설립했다. 최초의 대학은 학생들과 교수들의 학문 공동체이자 학생들이 중심이 돼 대학을 이끌어 갔다. 학생들은 이처럼 그들이 다시 학교의 중심이 되길 바라고 있다.

하지만 교수들은 정반대의 생각을 하고 있다. 대학이 연구와 교육을 위한 기관이라며 교수가 중심이라고 말한다. 이 때문에 교수들의 의사가 대학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본부도 이러한 교수들의 생각에 동화된 것처럼 보인다. 현재 대학은 정책에서부터 학생들의 수업까지 전부 교수가 중심이 됐다. 심지어 작년 전호환 총장은 국립대 통합을 위해 일방적으로 학칙을 개정하려 했다. 이에 학생들은 반발하며 학생 총회를 열었다.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는 데도 불구하고 교수가 일방적으로 수업을 휴강하기도 한다. 아직도 학생들이 무엇을 불편해하는지 무엇을 원하는지 알고 싶어 하지도 않는 것 같다. 학생들은 엄연히 학교의 구성원임에도 불구하고 ‘이방인’이 되어버렸다.

총장 선거에서 학생의 투표권 비율을 늘리는 것은 학생이 대학의 구성원으로 인정받기 위한 첫걸음이다. 학생들은 투표권이 없거나 적다 보니 학생들을 위한 공약도 적다. 있어도 장학금 제도나 취업률 인상과 같은 학생들이 직접 생활에서 느낄 수 없는 상투적인 공약뿐이다. 간혹 학생을 위한 공약을 내건 후보도 있지만, 교직원을 위한 공약이 많이 없으면 선거에서 떨어진다. 학생들을 위한 공약이 없어도 연구비 지원과 같은 교직원을 위한 공약을 많이 내걸기만 하면 총장이 되기도 한다. 이것부터 고쳐나가야 한다. 학교의 정책에 학생들의 목소리가 반영돼 교수 중심의 학교에서 서서히 바꿔가야 한다.

학생 중심의 학교가 되기 위해선 학생들의 노력도 필요하다. 혹자는 학생들에게 투표권을 늘리면 편향성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고 말한다. 학생들이 학교를 잘 모르기 때문에 학연이나 지연에 의해 뽑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런 우려를 없애기 위해선 학생들이 학교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총장이 무엇을 위한 자리이며 먼저 가져야 할 덕목은 무엇인지 생각해봐야 한다. 또한 총장 후보자들의 공약을 분석해 학교의 발전에 도움이 될지 판단해봐야 한다. 미국의 케네디 전 대통령은 ‘민주주의에서는 한 유권자의 무지가 모두의 안전을 해친다’고 말했다. 언젠가는 학생이 투표권을 가지고 올바르게 행사해 학생이 주인이 된 학교의 모습을 바란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