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학교 영어 교육에 대해 학생들은 실질적인 영어능력 향상을 위한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구체적으로는 △영어 활용이 가능한 교육 환경 조성 △영어에 대한 학습 지원 △영어 활성화 사업 지원 △학생들의 태도 개선 등을 들 수 있다.


  학생들은 학교 영어 교육이 주로 토익(TOEIC)에 집중돼있으며 영어 수업의 실효성도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장백산(예술문화영상 2) 씨는 “영어 실력 향상을 위한 공부보다는 단순히 ‘통과의례’로 여겨질 때가 많다”며 “학교의 뚜렷한 교육 목표 아래 학생들이 영어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한다”고 말했다. 또한 기존 영어 수업은 수업시간에만 영어가 단발적으로 사용돼 이에 대한 개선의 목소리도 있었다. 김은지(영어영문 1) 씨는 “수업시간 외에도 학생들이 자유롭게 모여 영어 모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학교의 지원과 관리 속에 체계적으로 운영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시행된 우리학교 영어 교육에 대해 정진욱(화학 석사 1) 씨는 “영어 강의가 문법, 단어, 독해 위주로 진행돼 현실과 많이 동떨어진 느낌이 들었다”고 전했다. 김은정(영어영문 석사 1) 씨는 “왜 영어를 공부해야하는지 동기를 부여해주거나 학습 방법을 제시해주는 것이 가장 필요한데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며 아쉬워했다.


  또한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가 아닌 만큼 우리나라는 우리의 방식대로 학습방법, 교수법을 마련해나가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즉 대학 평가의 양적 제고를 위한 무분별한 외국인 교수 채용과 원어 강의 확대가 아닌 우리 실정에 맞는 교육 방법이 있어야한다는 것이다. 김성애(영어교육) 교수는 “원어강의는 한국어로 강의하는 것보다 학생들과 교감, 전공 지식 설명 등에서 미흡할 가능성이 높다”며 “공인영어시험보다는 학내 영어 스터디 활성화, 영어 경연대회 개최 등 실제 영어 실력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강구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영어를 대하는 학생들 태도 역시 개선되어야할 부분이다. 변경남(문헌정보 3) 씨는 “영어를 단기간에 정복하겠다는 마음가짐보다는 장기간 꾸준히 공부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병곤(영어교육) 교수도 “아무리 영어를 공부하는 환경이 나아지더라도 학생 스스로가 영어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