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이 공공예절을 잘 지키지 않는 것은 우리나라의 사회적 분위기에 기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법질서 지수 OECD 최하위 수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2008년 ‘법·질서의 준수가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국민들의 법질서 준수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하위 수준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각국의 법질서 지수와 경제성장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1991년에서 2000년까지 10년 동안의 평균 법질서 지수가 4.4로 OECD 평균(5.5)보다 약 20%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0개국 중 28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사회문화적 의식수준 낮아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이렇게 공공예절이 잘 지켜지지 않는 원인은 무엇일까. 지난 2001년 매일경제신문과 법무부가 공동으로 국민 질서의식 설문조사(1953명 대상)를 실시한 결과, 국민들은 ‘남을 배려하지 않는 문화(83.7점)’, ‘원칙을 경시하는 사회풍토(76.3점)’, ‘남들이 지키지 않아 자신도 지키지 않기 때문(64.7점)’ 등 국민들의 사회문화적 의식 수준이 낮은 것을 공공예절 실종의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옥양련(사회) 명예교수는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 과정에서 국민들에게 사회에 대한 적응만을 강조했다”며 “‘삶의 질’, ‘공동체의식’ 등이 뒷받침되지 않은 합리주의, 개인주의가 규범이 지켜지지 않는 사회를 만든 것 같다”고 설명했다.

공공예절 교육 제대로 안 이뤄져     
  설문조사에서는 ‘공공예절에 대한 교육이 부족하다(64.5점)’, ‘자신만 지키면 손해를 보니까(63.7점)’라는 응답이 다음 순위를 차지했다. 신현정(심리) 교수는 “전통사회에서는 가정, 마을 등의 공동체에서 저절로 규범이 습득됐던 것이 어른의 권위가 실종된 현대 핵가족 사회에서는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윤진혁(사회교육 석사 1) 씨는 “그동안 우리나라의 교과과정은 학생들을 실용주의적 학문에만 집중하도록 만들었다”며 “개개인의 인격을 함양할 수 있는 학문이 점점 더 경시되는 현실에서는 공공예절 의식 제고도 기대할 수 없을 것”이라며 우리나라 교육제도의 문제를 꼬집었다.
 
  김수근(신문방송 3) 씨는 “요즘 사람들은 경쟁사회에 살면서 ‘공공예절을 지키는 것은 내가 손해 보는 것’이라는 인식을 강요받는다”며 “인터넷 상에서 ‘헌신하면 헌신짝 된다’는 말까지 나와 사람들의 공감을 사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