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일을 정해진 순서대로 해야 직성이 풀린다. 이에 주위 사람들은 ‘결과만 같으면 됐지, 왜 그런 고민을 하냐’고 묻는다. 그래도 모든 일에는 그에 맞는 순리가 있다. 절차상의 오류로 나중에서야 뒷수습하는 것보다 하나씩 순서대로 진행해 수정하는 것이 더 안심된다. 그러다보니 다른 사람이 제대로 순서를 지키지 않는 모습을 보면 오히려 불편해진다. 얼마 전에도 그랬다. 지난 19일 열린 ‘2017 하반기 민족효원 대의원총회 임시회의(이하 임시 대총)’ 때문이다.

임시 대총에서는 회칙과 세칙 개정안에 대한 논의와 총학생회(이하 총학) 예산안 심의가 진행됐다. 이를 논의하는 도중, 한 대의원이 수정할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총학은 수긍하며 그 부분을 수정하겠다고 답했다. 이때 의문이 들었다. 개정안 수정은 중운위에서 하는 일이다. 이 자리는 분명 대총이었다. 대총에서는 회칙 수정을 할 수 없다. 회칙 개정안을 만드는 것은 중앙운영위원회(이하 중운위) 위원들의 몫이다. 따라서 대총에서는 가결 혹은 부결만 이뤄져야 한다. 중운위 위원도 이를 지적하고, 지금 당장 임시 중운위를 소집해야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총학은 수정이 필요한 항목을 제쳐두고 다음으로 넘어갔다. 일단 수정할 필요가 없는 항목은 통과시키고 나머지는 임시 중운위를 거친 후 수정 동의안을 의결하려 했다. 마찬가지로 다음 개정안에서도 수정할 것들이 있었다. 나중에서야 임시 중운위가 열렸다. 결국 임시 중운위를 소집할 텐데, 왜 앞서 하지 않은 걸까. 곧바로 진행됐다면 원활하게 이어졌을 테다. 오히려 회의 진행에 혼란만 가중됐다.

이와 같은 일이 또 있었다. 교지편집위원회 <효원>(이하 <효원>)이 총학 특별기구 사임 논의를 요구한 것이다. 마지막 안건이었다. 만약 <효원>이 특별기구를 사임하게 된다면 회칙과 세칙에서 <효원>과 관련된 조항을 모두 개정해야 한다. 하지만 이미 회칙과 세칙 개정안은 가결된 상황이었다. 즉, <효원>과 관련된 조항이 버젓이 있는 상황에서 사임이 결정되면 다시 회칙과 세칙을 논의해야 했다. 하지만 아무도 이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다. 올바른 순서로는 회칙과 세칙 개정안 논의 전에 진행돼야했다. <효원>의 사임 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국 <효원>은 총학 특별기구로 존치됐다. 같은 결과지만 속으로는 찝찝했다.

임시 대총이 끝난 후 지금까지도 그 기분이 가시지 않는다. 그들이 취한 절차를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뒤죽박죽으로 진행해도 되는 걸까? 오히려 필자가 더 불안했다. 회칙과 세칙 같은 규칙을 정하는 자리일수록 절차는 더욱 중요하다. 결과적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더라도 뒤섞인 순서로 진행된 대총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 결과가 어떻든 절차를 지키는 것이 급선무이지 않을까?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