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5일, 도서관은 2010년부터 지난 1월까지 희망조사 제도를 통해 구매한 도서에 대한 전수조사를 했다. 그 결과 각종 데이터를 짜깁기하거나 내용이 부실한 ‘엉터리 책’ 171권이 적발됐다. 엉터리 책으로 구분한 도서는 정부 부처의 홈페이지에 게재된 보고서나 인터넷에 떠도는 자료를 그대로 베낀 것이다. 이 171권의 엉터리 책을 구매하는 데 쓰인 비용은 총 5,280만 원으로, 대략 한 권에 30만 원 상당 책이었다. 이러한 엉터리 책이 희망도서로 선정된 이유는 총 4곳의 출판사가 도서관 ‘희망도서’ 제도를 악용했기 때문이다. 해당 출판사들은 자신의 출판사가 발간한 책을 희망도서로 신청하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모집하기까지 했다. 이렇게 신청된 엉터리 책의 대출 횟수는 현저히 적었다. 전수조사 결과 적발된 171권의 총대출횟수는 508회로, 그중 30종은 대출이 한 번도 되지 않았다.
도서관이 모든 해당 도서를 조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우선, 희망조사 제도를 통해 고가의 자료가 신청되면 신청자에게 전화해 확인한다. 신청자에게 질문으로 △자료 가격확인 △연구 및 학습에 필요 여부 △출판사나 영업사원을 통한 신청 여부를 확인하고 문제가 없을 시 해당 자료를 구매한다. 도서관 자료개발팀 정재훈 직원은 “신청자 측에서 도서를 신청한 목적과 경로가 명확하다면, 도서관에서 해당 출판물에 관해 확인하는 작업에는 한계가 있다”고 전했다. 현재 도서관 측은 전수조사 이후, 자료선정 지침을 개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10만 원 이상의 자료일 경우, 별도의 결재를 취한 후 사도록 개정됐다. 또한, 자료의 형식과 주제에 따라 가격 상한선을 제정했다. 만약 각 자료의 가격 상한선을 넘길 시, 실무선정위원회를 거치고 나서 구매 여부를 결정하게 된 것이다.
한편 일각에서는 도서관의 자체적인 노력뿐만 아니라, 국립중앙도서관의 국제도서번호(ISBN) 발급 기준을 강화해 엉터리 책의 유통을 원천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국제도서번호는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각종 도서에 부여하는 고유한 식별기호로서, 이를 발급받으면 상업적인 유통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정재훈 직원은 “국제도서표준번호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엉터리 책을 유통하는 원인이 없다고는 할 수 없다”며 “근본적으로 이러한 출판물들이 유통되지 않도록 문화관광부와 출판협회들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