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말하는 동ㆍ서부산 간의 복지 격차가 수치상으로도 입증됐다. 부산광역시의 중남부권과 서부산권이 다른 지역에 비해 복지 지표에서 취약했던 것이다.
부산복지개발원은 지난 8월, 부산광역시(이하 부산시) 지역 간 복지 격차를 알 수 있는 보고서를 내놨다. 이른바 <부산의 복지ㆍ건강분야 소지역간 격차 실태 및 해소전략 연구>(이하 보고서)다. 보고서는 부산시를 △동부산권(동래구, 해운대구, 금정구, 기장군) △중부산권(부산진구, 남구, 연제구, 수영구) △중남부권(중구, 동구, 서구, 영도구) △서부산권(북구, 사하구, 강서구, 사상구)으로 나눠 복지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담고 있다. 이에 <부대신문>은 보고서에서 권역별 복지수준 격차를 짚어봤다.

인구 유입과 유출에도 격차 존재한다
부산시는 전반적으로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인구 변화 양상은 권역별로 달랐다. 권역별로는 중남부권의 인구감소율이 가장 컸으며 동부산권은 오히려 증가했다. 올해 8월 기준, 작년 대비 중남부권의 인구는 -5.71%, 중부산권이 -1.83%, 서부산권은 -0.83%으로 줄어든 반면, 동부산권의 인구는 2.21% 증가한 것이다. 이러한 인구감소는 출생과 사망으로 변화하는 자연 증감보다는 인구 유ㆍ출입 등 사회적 증감에 해당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을 원도심의 인구는 계속해서 유출되는 반면, 신도시 조성이 이뤄지는 성장주도지역은 반대로 인구가 늘어나는 것이라 분석했다. 부산복지개발원 정책연구부 김보람 직원은 “인구 변화만 보면 중남부권은 지속적으로 쇠퇴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며 “기장군 정관신도시 조성 등으로 동부산권에는 새로운 인구가 많이 들어서는 추세”라 설명했다.

중남부권에 몰리는 고령인구
고령인구의 변화에도 지역 간 격차가 나타났다. 부산시는 전국 17개 광역시ㆍ도 중 처음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그 중에서도 고령화율이 높은 곳은 부산시의 중남부권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남부권은 고령화율이 2014년 기준 19.71%에 육박해, 초고령권역에 접어들었다. 그 외 지역은 고령화율이 15%를 넘지 않아 중남부권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고령화율이 높은 지역은 대체적으로 농촌지역이거나 과거 주거집중지역이었다. 반농반도이거나 농촌지역이었던 곳에 해당하는 곳은 강서구 가락동이나 대저1동이다. 70년대 이전의 주거집중지역인 곳으로는 동구 초량6동, 수정4동 등이 있다. 김보람 직원은 “고령화율이 높은 중남부권역에 돌봄 및 건강 등 고강도의 복지정책이 시급하다”고 분석했다.

부산시 내 뚜렷한 빈부격차
부산시 전체의 기초생활수급자 비율은 소폭 감소한 양상을 띠고 있다. 2011년 3.76%에서 2014년 기준 3.34%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권역별로는 중남부권이 5.4%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서부산권 3.88%, 중부산권 2.74%, 동부산권 2.72%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집계되지 않은 탈수급자들이 더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10년 전국적으로 사회복지통합관리망(행복e음)의 시행으로 수급 요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탈락자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부산반빈곤센터 손우영 사무국장은 “기존의 수급자가 빈곤에서 탈출했기 때문이 아니”라며 “기준에 부합하지 않거나, 부산시 차원에서 신규 수급자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가장 취미생활 활발히 하는 중부산권
지역 사회 내 사회활동에 대한 참여율도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사회활동에 해당하는 활동은 △종교활동 △친목활동 △여가ㆍ레저 활동 △자선단체 등이 해당한다. 이러한 활동들은 주민 삶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참여도는 4점 만점으로, 부산시 평균 점수는 1.19점이다. 가장 점수가 높은 권역은 1.24점을 기록한 중부산권이었다. 그 다음으로 동부산권 1.2점, 서부산권 1.18점이었으며,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곳은 중남부권으로 1.09점이었다.
이처럼 사회활동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는 지역의 공통적인 특징은 △원도심권 주거지역 △영구임대아파트지역 △재개발ㆍ재건축 지역이었다. 북구 구포3동, 부산진구 범천1동, 동구 수정동 등이 이에 속한다. 김보람 직원은 이들 지역에 “사회경제적 취약성과 주거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종합적인 복지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해야 한다”고 전했다.

삶에 대한 만족도에서도 격차 보여
주민이 느끼는 행복까지도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행복감지수는 질병관리본부가 실시한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 ‘현재 수준에서의 삶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에 대한 주민들의 대답으로, 10점 만점으로 평가한다. 부산시 권역별로 행복감지수는 중남부권이 6.43점으로 가장 낮았다. 그 다음으로 서부산권과 중부산권이 6.66점, 동부산권이 6.69점이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행복감지수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는 사회활동참여율이나 지역보건의료여건 등이 있었다. 김보람 직원은 “행복한 동네 공동체가 되기 위해서는 사회경제적으로 빈곤하지 않아야 하고 지역의 보건의료서비스도 잘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