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3월 11일 14시 46분, 일본 도호쿠 지방에서 리히터 규모 9.0의 지진이 발생했다. 강진 발생 이후인 3시 27분, 초대형 쓰나미가 후쿠시마 지역을 강타했다. 이후 발생한 2차 쓰나미가 한 번 더 원전을 강타하자, 곧 비상냉각시스템은 작동을 멈췄다. 결국 원전 1호기는 폭발하고 말았다. 이후 5년의 기간 동안 후쿠시마 지역에는 약 5%의 주민만이 복귀했을 뿐, 폐허가 된 그곳은 여전히 참담한 모습으로 남아있다. 1900년 이후 전 세계에서 네 번째로 강력했다고 기록된 동일본대지진은 도시 사람들의 모든 것을 순식간에 앗아갔다.
  해당 소식을 전해 들으며 느꼈던 감정은 안타까움과 동정…. 피해를 받은 그들에겐 미안하고 부끄럽지만 사실 안도감이 가장 컸을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그만큼의 강진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그로 인한 피해가 적을 것이라고 확신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발생한 일련의 사태들은 이 같은 생각을 무너뜨리고 불안감을 주고 있다. 단지 경주 지역에서 발생했던 수차례의 지진 때문만은 아니다. 지진 발생 이후 밝혀지는 진실들이 그 원인이다.
  ‘큰 지진이 발생할 수 있는 활성단층이 우리나라에도 존재한다’. 불안감이 엄습한 첫 번째 이유다. 경주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한 이후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에 수많은 활성단층이 존재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특히 일부 단층들은 규모 7.0이 넘는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추측도 있었다. 그렇지만 놀라운 것은 한반도에 활성단층이 어디에 얼마나 존재하는지 아무도 모른다는 점이다. 본격적으로 활성단층에 대한 조사가 이뤄진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지진이 발생한 지역에 원전단지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경주 지진의 발생을 유발한 양산 단층 위에는 총 8기의 원전이 있는 고리원전이 위치해 있다. 특히 이 원전단지는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을 정도로 원전이 밀집해 있는 곳으로도 꼽히고 있다. 세 번째 이유는 이 단층이 활성단층이라는 결과를 받은 정부가 이를 은폐하고, 고리원전단지에 신고리 5, 6기를 추가로 건설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민안전처,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관련 정부 부처들은 위 세 가지에 대해 모두 부인하고 있다는 점이다. ‘원전단지 반경 40km 이내에 활성단층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는 ‘활성단층이 있는 것은 맞지만, 규모 7.0 이상의 강진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활성단층과 원전단지 사이의 거리가 안전할 정도로 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원전단지는 안전할 것이다’가 그들의 공식 입장이다. 앞에서 쌓여온 불안감은 결국 마지막에서 최고조로 다다른다.
  수차례 지진이 발생하고 정부는 해당 원전의 내진설계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원전이 안전하지 않을 것이라는, 노후원전 가동과 신고리 원전 건설에 대해 다시 한 번 고민해봐야 한다는 외침에 답해야 한다. 모두가 요구하는 안전도검사와 그 결과에 따른 지침이 필요하다. 오히려 지금 이 상황은 정부에게 주어진 기회일지도 모른다. 불안감을 신뢰로 바꿀 수 있는 기회. 지난 12일 이후, 아직도 흔들리고 있을 국민의 마음을 진정시켜줄 수 있는 것은 그들의 결단뿐이다.

주형우 문화부장
sechkiwkd11@pusan.ac.kr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