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대 미래라이프 단과대학 설치 문제로 촉발된 이대 사태로 대학사회가 시끄럽다. 이화여대 사태가 이렇게 예상보다 확장된 가장 큰 이유로 대학 내 소통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우리 대학도 요즘 학내 소통 문제로 큰 고통을 겪고 있다. 과연 요즘 우리 대학의 신문과 주요 일간지에 자주 오르내리는 “부산지역 국립 연합대학 체제(안)”이 대학 내에서 제대로 소통이 되고 있는지 의문이다.
  첫째, 연합대학안이 제기되는 방식이 처음부터 무리가 있었다. 이 주제는 현 전호환 총장의 공약사항도 아니었고 작년 총장선거에서 후보들 사이에 이슈가 되었던 문제도 아니었다. 또한 일부 교수나 교수회 차원에서 문제를 제기한 주제도 아니었다. 올 6월 현 총장이 취임하면서 취임사에 처음으로 등장한 주제였다. 총장이 취임할 때까지 교수를 비롯한 학내 구성원들 사이에서 아래로부터 공감대가 형성된 의제가 전혀 아니었던 것이다.
  둘째, 연합대학안 문제가 제시된 후 제대로 된 정보의 공급이 없었다. 대학본부나 교수회로부터 정식 설명회나 공청회가 없다보니 학내 구성원들은 지역 신문이나 중앙 일간지를 통해 정보를 입수해야 했다. 학내 구성원들은 아직도 연합대학안의 정확한 실체를 잘 모른다. 그러다보니 학내에서 여러 가지 오해가 증폭되고 있다. 예컨대 현 총장 임명과 이 문제가 연계된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교육부가 현 총장을 임명하는 대가로 이 문제를 현 총장에게 총대 메도록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이 바로 그것이다. 그 근거는 현 총장의 연합대학안이 교육부가 발표한 국립대학 연합체 구상에 부응하는 내용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6월 23일 열린 ‘한국대학교육연합회 하계 대학총장 세미나’에서 이준식 교육부 장관은 “지역거점 국립대학과 주변 소규모 대학들의 기능을 연계하는 국립대학 발전방안을 마련 중”이라는 우리 대학 신문의 보도도 있었다.
  셋째, 의제 설정의 절차가 문제가 되다 보니 연합대학안의 정확한 내용이 제대로 밝혀지기도 전에 반대하는 기류가 생기고 있다. 우리 대학 총학생회는 9월 27일부터 29일 사이에 연합대학안에 대한 찬반투표를 실시한다고 한다. 학생들이 학내 구성원으로서 정당한 문제 제기를 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나 투표 행위는 투표 행위자에게 정확한 정보가 주어져야 그 공정성이 담보되는 것이다. 하지만 현 총학생회는 연합대학안의 구체적인 실체가 드러나기도 전에 반대를 전제로 한 투표를 독려하는 모습으로 비치고 있어 우려된다.
  우리 대학은 지금 안팎으로 시련에 직면해 있다. 학령인구의 감소에 대비한 구조조정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하고 총장직선제 고수로 인한 불이익, 효원문화회관 소송 사태 등 넘어야 할 산이 즐비하다. 이럴 때 일수록 학내 구성원들의 의사를 찬찬히 확인하고 결집해서 위기에 대처해야 한다. 다행히 현 총장은 늦었지만 연합대학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부산대학 발전협의체’를 구상하고 있고, 곧 교수회와 협의해서 의견을 청취하며 공청회도 열 예정이라고 하니 반가운 일이다. 문제의 핵심은 연합대학안 자체가 아니라 원활한 학내 구성원 사이의 소통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새겼으면 한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