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나가라는 판결이 나오면 저는…. 당장 생계가 걱정이에요”.
“효원문화회관 사태를 아세요?”라는 질문에 잘 모른다는 대답만을 반복하던 취재원이 필자에게 한 말이다. ‘효원문화회관 사태’에 말려든 대부분의 영세 임차인들이 비슷한 입장이지 않을까. 당장 생계를 걱정하며 눈시울을 붉히고,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 거예요?”, “정말 나가야 하는 건 아니죠?”라고 묻는 그녀에게 필자가 해줄 수 있는 말은 없었다.
효원문화회관(효원굿플러스)은 대학 내에 최초로 들어선 종합쇼핑몰이다. 전국의 국립대학 중 최초로 BTO(Build-Transfer-Operate) 방식으로 지어진 건물이기도 하다. 효원문화회관 건설계획은 발표당시부터 대학 내 상업화 논란에 휩싸여 갖은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반대여론에도 불구하고, 효원문화회관의 건설을 위한 절차는 계속 진행됐다. 결국 2009년 2월, 효원문화회관이 개장하게 된다.
개장 이후 서서히 문제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시행사인 효원이앤씨는 400억 원을 대출받아 사업을 시작했지만 예상보다 낮은 수익성에 대출금을 갚지 못하는 상황에 처했다. 그러자 우리 학교가 효원이앤씨의 재대출에 보증을 서게 된다. 당시 김인세 총장은 ‘효원이앤씨가 빌린 400억 원의 상환을 제대로 못 할 경우 부산대 기성회 회계에서 대신 지급할 수 있다’는 내용의 ‘2차 보충 약정’에 조인했다. 효원이앤씨가 사실상 파산 상태에 처하자, 대주단은 이를 근거로 대한민국(우리 학교)과 우리 학교 기성회에 원리금을 상환하라고 소송을 제기하게 됐다.
이처럼 우리 학교가 효원이앤씨를 감싸준 것에는 이유가 있었다. 김인세 전 총장은 효원이앤씨로부터 1억이 넘는 뇌물을 받고 특혜를 준 혐의로 기소됐다. 감사원도 사업에 대한 감사에 착수했다. 감사결과 사업자 선정과 진행 과정에서 뇌물을 받고 각종 편의를 제공해준 사실이 드러났다. 이로 인해 우리는 또 한 번의 망신을 겪게 됐다.
필자는 2년 동안 학교생활을 하며 ‘효원문화회관’이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이 없었다. 아니, 어쩌면 모른 체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더 이상 모른 체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대학의 발전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추진된 초대형 쇼핑몰이 애물단지로 전락해버린 지금, 우리는 과욕이 불러일으킨 대참사를 직면할 수밖에 없게 됐다.
우리 학교는 이제 상고심 판결만을 기다리고 있다. 대법원에서 원심을 확정할 경우 갚아야 할 돈은 수백억 원에 달한다. 우리 학교의 운영예산이 연간 3,000억 원가량인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부담이다. 우리 학교는 무리한 투자에 대한 책임을 떠안게 됐고, 효원문화회관 건물만이 남았다. 대학은 기업이 아니라는 구성원들의 반대를 묵살하며 강행된 효원문화회관사업이 이제는 우리 학교를 벼랑 끝으로 내몰게 된 것이다. 수익에 눈이 멀어 캠퍼스에 상업시설을 유치한 결과가 이보다 추잡할 수 있을까. 수렁에 빠진 우리 학교를 정부가 건져 올려주길 기다릴 수밖에 없다. 

신우소 기자
danbi@pusan.ac.kr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