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군 복무 인원 감소를 이유로 전문연구요원 제도를 폐지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전문연구요원을 희망하는 이·공계열 학생들이 반발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전문연구요원제도는 이·공계 분야 석사 이상 학위소지자가 병역지정 연구기관에서 일정 기간 연구 활동에 종사하면 병역복무를 마친 것으로 인정하는 제도다. 한국연구재단에서 실시하는 대학전문연구요원 선발시험에 합격하면 전문연구요원으로 근무할 수 있다.
  지난 16일 국방부가 ‘전환·대체복무요원 감축 및 폐지 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에는 2023년까지 산업기능요원과 전문연구요원을 단계적으로 폐지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그중 박사과정 전문연구요원은 2019년까지 중단할 예정이다. 이에 따르면 병역을 마치지 않은 석사의 경우 2018년까지 박사 과정을 시작해야 하며, 현재 학부 소속인 학생들은 사실상 박사과정 전문연구요원으로 근무할 수 없다.
  이 같은 방침에 전국 이·공계 학생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전국 10개 대학 학생회들은 ‘전국 이공계 학생 전문연구요원 특별대책위원회’(이하 전문연 특별대책위)를 구성해 지난 19일 국회 앞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우리 학교 이·공계 학생들도 대응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 25일 열린 중앙운영위원회에서는 전문연 특별대책위에 자연과학대학과 공과대학이 참여하는 것이 결정됐다. 총학생회 유영현(철학 11) 회장은 “전문연 특별대책위에 두 단과대학만 참여하지만, 총학생회 차원에서도 총력을 다해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6일 공과대학 학생회는 임시 회의를 열어 전문연구요원 폐지 대응 방식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는 자연과학대학과 공과대학이 함께 학생들에게 문제 인식을 위한 홍보를 하고, 전문연구요원 존치를 위한 서명운동을 벌일 방안이 마련됐다. 공과대학 학생회 김민우(화공생명공학 10) 회장은 “전문연구요원으로 복무하는 인원이 많은 것도 아닌데 폐지하는 것은 복무 인원 증가에 도움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국가적 손실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고 전했다.
  이·공계열 학내구성원들은 모두 전문연구요원 폐지에 부정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전문연구요원을 준비하고 있는 김민수(기계공학 15) 씨는 “군 복무 기간 없이 연구에 몰두할 계획이었는데 갑자기 폐지 소식을 들어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신보성(기계공학) 교수는 “전문연구요원은 군 복무를 회피하는 수단이 아닌 국익을 위한 제도로 봐야 한다”며 “해당 제도가 폐지되면 지방대학의 경우 인재를 유치하는 데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 말했다. 자연과학계열 A(생명과학) 교수도 이에 대해 “이공계열 기피현상이 더 심해지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며 “군 복무로 인한 연구 단절이 생기지 않으려면 해당 제도를 존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