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의 <청년 일자리 창출 지원 조례>를 보면 부산시가 지닌 청년 일자리 창출 정책에 대한 생각이나 태도를 알 수 있다. 해당 조례의 제6조에는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부산시장이 추진하거나 지원할 수 있는 사업이 명시돼있다. 첫째 기업이 필요로 하는 청년 양성 사업, 둘째 청년 창업 육성 및 지원을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 사업, 셋째 청년 취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취업역량 강화 사업. 마지막으로 ‘그 밖에’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
첫째부터 셋째까지의 조항이 규정하고 있는 사업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그것은 바로 노력하는 주체가 청년이라는 것이다. 마치 청년에게 ‘기업이 필요한 인재가 되어라, 창업해서 스스로 일자리를 만들어 봐라, 취업역량 강화해서 취업해라’라고 말하는 것 같다. 부산시가 말하는 청년 일자리 창출에는 ‘청년이 노력해야 한다’ 식의 뉘앙스가 강하게 느껴진다. 한편 기업이나 부산시가 청년 고용 확대를 위해 직접 나서는 사업은 ‘그 밖에’가 되었다.
아무리 부산시가 지원 사업을 통해 청년의 취업 경쟁력을 높여 기업이 원하는 청년을 만들어 낸다고 해도, 청년이 기업에서 일할 수 있는 일자리가 없으면 그것이 무슨 소용일까?흔히 ‘스펙 전쟁’이라고 말하는 현상이 우리 현실에 일어나고 있지 않은가?현재 취업 준비생들을 보면 각종 자격증에, 어학 성적에, 수상경력 해외봉사 경험에, 없는 것이 없다. 하지만 여전히 취업의 길은 험난하기만 하다. 청년이 취업 역량 부족으로 1,000:1의 경쟁률을 뚫지 못하는 것일까, 절대적으로 일자리가 없어서 단 한 자리의 일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는 것일까. 답은 간단하다.
창업을 하라는 소리도 생각해보면 청년에게만 짐을 지우는 말이다. 젊은 나이로 넘치는 아이디어를 통해 창조경제를 이룩하기에는 세상은 너무 위험천만하다. 학자금 대출을 통해 대학 등록금을 겨우 내고, 갓 졸업한 청년들에게 창업을 위해 대출을 받으라는 소리는 너무나 가혹하다.
청년들은 실패라는 말을 숱하게 배워왔다. 청년들은 학교에서부터 경쟁사회에서 성공한 우승자와 실패한 탈락자를 봐오며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학습해왔다. 그렇기에 청년들은 절박하게 실패가 없는 일자리를 원한다. 노량진에 각종 고시 준비로 가득 찬 청년들이며, 계약직에서 정규직으로 넘어가고 싶은 청년 ‘미생’을 보라. 청년들은 온 힘을 다해 사회가 말하는 ‘실패’를 하지 않으려 한다.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 문제는 청년들만의 힘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이미 청년들은 노력하고 있다. ‘N포 세대’라는 말이 붙을 정도로 많은 것을 포기하며 살고 있다.
이제는 청년이 아니라 ‘그 밖에’가 나서야 할 때다. 국가, 사회, 기업이 나서서 이들을 위한 자리를 마련해야 한다. 아르바이트, 비정규직, 인턴으로 만드는 일자리 창출이 아닌 그들이 온전히 몸을 담아 정당한 대가를 받을 수 있는 일자리를 말이다. 부산시가 ‘청년 고용 확대’라는 말을 외치기 전에 부디 청년들의 현실을 바라봐 주기를 바란다. 청년들은 절박한 현실에 도움이 되는, 몸으로 직접 느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