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약수터 수질 부적합률이 37.6%로 나타났다. 지방자치단체의 관리 강화와 시민들의 음용에 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부산발전연구원에 따르면 2014년 부산광역시(이하 부산시) 약수터 수질검사 결과 총 1,047건 중 수질이 부적합한 경우가 37.6% (394건)로 나타났다. 이는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과 각 구·군 보건소가 부산 내 183개 약수터를 대상으로 연 6회 실시한 수질 검사 결과를 종합한 것이다. 수질 부적합 판정을 받은 약수에서 총대장균군이 검출된 경우는 70%에 달했으며, 분원성대장균군이 검출된 경우도 12.5%로 나타났다. 분원성대장균군은 사람이나 동물의 배설물에서 검출되는 대장균이다. 안순철(미생물학) 교수는 “대장균이 검출된 물을 음용할 시 소화계통에 복통, 구토, 설사와 같은 해를 입을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4년간 부산시 약수터 수질검사 결과>

약수터는 <먹는물 관리법>에서 규정한 ‘먹는물 공동시설’로, 부산시민의 15.5%가 식수원으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4년간 약수터 수질 부적합률은 30~40%대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시민들은 여전히 수질 부적합 판정을 받은 약수터를 이용하고 있었다. 13회 연속 부적합 판정을 받은 ‘범일동 녹수 약수터’와 10회 연속 부적합 판정을 받은 ‘초량동 수정샘 약수터’ 역시 폐쇄 후에도 시민들이 계속 사용해 문제가 됐다. 동구청 청소위생과 김중장 직원은 “연속적으로 수질 부적합 판정을 받은 동구 지역 약수터 6곳을 폐쇄 조치했지만, 약수터에서 물이 계속 나오는 상태여서 아직도 시민들이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는 약수터 수질 부적합의 가장 큰 원인으로 토양오염을 꼽았다. 약수터 주변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생긴 토양오염이 지하수까지 오염시킨다는 것이다. 부산발전연구원 신성교 선임연구위원은 “약수는 산의 환경을 대표한다”며 “등산객이 배출한 분뇨나 쓰레기, 산지 내 불법 경작과 같은 것들이 지하수를 오염시킨다”고 말했다.
약수터 수질 부적합 판정이 반복되면서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의 철저한 약수터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약수터 주변에 간이 화장실을 설치해 등산객의 분뇨 같은 오염원을 차단하고, 산지 불법 경작 단속을 강화하는 등 수질 오염원을 줄이자는 것이다. 신성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약수터 주변에 간이 화장실이 설치돼 있지 않아 수질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수질 부적합 판정을 받은 약수터를 집중 관리하는 것도 필요하다. 약수가 부적합 판정을 받아도 시민들이 음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에 신성교 선임연구위원은 “부적합 판정을 4번 이상 받은 약수터의 폐쇄와 더불어 단수 조치를 하는 등 시민들의 음용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약수터에 살균시설을 설치를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다. 금정구청 환경위생과 송원호 계장은 “금정구의 약수터 16곳에 살균시설을 설치했는데, 실제로 이 약수터들은 모두 수질 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말했다.

 금정구 장전동 보광암 약수터에 수질 부적합 경고문이 붙어 있다

지자체가 시민들과의 협력을 통해 약수터 인근 환경을 지속적으로 정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지자체가 지역 노인회등과 협력 관계를 맺어, 시민들의 주변 환경을 정리하고 약수터 이용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제로 충북 충주시 범바위 약수터는 지역산악회와 협약을 맺어 시설을 보수하고 환경을 정비하고 있다. 시민들 역시 같은 의견을 냈다. 김진구(남구, 43) 씨는 “환경을 생각하여 등산객들도, 관리하는 지자체도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