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6년 5월 15일 개교로, 광복의 역사와 함께 커온 우리학교는 이제 일흔의 나이를 바라보고 있다. 오랜 역사와 변화를 겪어 왔지만, 학내 구성원과 외부인이 ‘부산대’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바로 ‘국립대’라는 점이다.
  우리학교의 설립은 광복 후 새로운 고등교육 기관을 세우고자 했던 지역인들의 의지에서 추진됐다. 곳곳에서 모인 손길로 1,000만 원이 모였고, 당시 문교부의 설립 인가에 따라 우리학교가 문을 열었다. 광복 이후 나라에서 인정하고 운영한 최초의 국립대인 것이다.
  개교 이후 대표적인 국립대학으로 자리매김해온 우리학교는 정치권과 언론, 그리고 지역으로부터 사회적 책임과 공공성을 띨 의무를 요구받아왔다. 나라의 지원을 받아 운영하는 대학이기 때문이다. 지역인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국가와 지역의 발전에 도움을 줄 책임 등이 있다고들 이야기한다. 약 3년간의 신문사 생활을 통해 느낀 것은 학내 구성원 또한 이 같은 책임의 무게를 실감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학 구조조정으로 기초 학문이 위기를 겪을 때 국립대로서의 기초 학문 보호 의무를 강조했고, 지역인에게 도서관을 개방함에 따라 잡음이 생겨날 때도 ‘사립대가 아닌 국립대이기에 유지해나가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비쳤다.
  이렇듯 의무와 책임을 묻는 여러 목소리가 들려오지만, 정작 우리학교의 목소리는 들어주는 곳은 없다. 시설 확충, 취업 지원 등의 교육 여건을 개선하고자 해도 항상 재정의 벽에 부딪힌다. 학내 구성원이라면 누구나 당연히 ‘우리학교는 돈이 없으니까’라고 자조한다. 재정 지원의 필요성은 예산을 처리하는 교직원들뿐만 아니라 학생들도 느끼고 있다. <부대신문>이 이번에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우리학교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32.4%의 학생들이 ‘정부의 재정 지원 확대’를 꼽아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국립대를 국가가 책임지고 지원을 늘려달라고 목소리 높여도, 여전히 정부는 손만 놓고 있다. 근거 없이 거둬온 기성회비를 폐지하고 정부의 지원을 늘려달라고 했지만, 정치권은 오히려 학생의 재정 부담을 정당화해주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결국, 재정 운영의 열쇠를 가진교육부의 눈치만 봐야 한다. 교육부의 정책 방향에서 어긋나면 재정 지원에서 불이익을 얻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012년, 교육부의 총장직선제 폐지 압박을 받아들이지 않은 우리학교는 교육역량강화사업에서 탈락해 수십억 원의 지원금을 받지 못했다. 지난해에도 교육부로부터 총장직선제 폐지 압박 공문을 받았다. 학내 구성원의 반발 속에서 직선제 요소를 삭제한 총장 선정 규정에 대해 논의를 시작하기에 이르렀다.
  어떤 주체건 의무와 권리를 동시에 지닌다고들 한다. 그렇다면 우리학교는 국립대로서의 권리는 충분히 존중받고 있을까. 입학 이후 직·간접적으로 목격한 여러 장면들을 떠올리곤 그렇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사회 각계에서 요구하는 의무를 다하고 발전하기 위해선 제도적·재정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지역인과 국가의 의지로 세워진 우리학교가 그 의무를 다하고 나아가려면, 먼저 우리학교의 목소리가 존중받아야할 때다. 

   
 오나연 대학부장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