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의의

 

  ‘통신사’는 본래 믿음을 통한다는 의미를 지닌, 이웃 나라에 보내는 사신의 명칭이다. 1607년 조선이 임진왜란의 상흔을 넘어 에도막부에 회답겸쇄환사 파견을 받아들인 이래 총 12차례 조선 사신이 일본을 방문했고 1636년부터는 포로를 데리고 온다는 의미의 쇄환사라는 명칭을 버리고 통신사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대부분은 막부 쇼군의 즉위를 축하하는 것이 공식적인 파견 목적이었다. 일본 쪽에서는 외국사절의 방문을 통해 쇼군의 위신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고, 조선으로서는 일본과의 외교를 유지함으로써 일본의 재침을 방지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었다. 양국 사이에는 임진왜란으로 인한 묵은 감정은 있을지언정 민감한 정치적 사안이 있을 수 없었다. 1711년 조선 사신에 대한 지나친 예우를 대등하게 바꾸려고 한 아라이 하쿠세키의 빙례개혁 정도가 갈등이랄까. 종계변무 등과 같이 해결해야 할 정치적 사안이 존재하던 청나라와는 뚜렷하게 변별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통신사 파견은 회를 거듭할수록 문화교류의 성격을 띠면서 교류 분야도 다양해졌다. 일본 내에서도 성대한 축제, 양국 문화교류의 거대한 이벤트처럼 여겨졌다.  
  1811년 마지막 사신의 국서 교환은 쓰시마에서 이뤄졌다. 그러나 통신사행을 만나기 위해 학자, 화원, 의원들이 에도와 오사카에서부터 건너와 대기하고 있었다. 조선인과의 문답을 위해 미리 연습한 흔적도 찾아볼 수 있다. 통신사의 정치적 효용성이 이전 시기에 비해 상당히 떨어졌지만, 문화교류 측면에서 보면 여느 때보다 훨씬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졌다. 이것은 통신사가 공식적인 외교사절이기는 했으나 다분히 민간 교류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는 반증일 것이다.
  통신사가 조선 후기 일본에 보내는 사신을 지칭하는 것처럼 여겨지는 것은 대등한 위치에서 외교 관계를 맺은 나라가 일본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우리 쪽에서 굳이 말한다면 일본에 보내는 통신사, 즉 일본통신사라는 말이 더 타당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도 현대에 와서 조선에서 온 통신사, 즉 ‘조선통신사’라는 말이 굳어진 것은 아무래도 통신사의 의미를 먼저 조명한 쪽이 일본이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여전히 남아있던 조선멸시관의 극복을 위해 재일학자와 향토사학자들 중심으로 양국우호의 상징으로서 발굴된 측면이 있는 것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1990년 노태우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했을 때 아메노모리 호슈의 성신외교(誠信外交)을 강조한 바 있다. 당시 참석했던 분의 말씀에 따르면, 아메노모리의 이름이 매우 낯설었기 때문에 비가 샌다는(雨の漏り) 말인 줄 알고 어떤 사람은 천정을 쳐다봤을 정도였다고 한다. 두 번이나 통신사를 안내했던 아메노모리 호슈가 공식적인 석상에서도 우호의 상징으로 거론됐고, 일본 내에 통신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됐다. 
  지금은 양국 교과서에도 통신사에 관한 내용이 나올 정도로 인지도가 높아졌다. 앞선 시기 250년간 우호를 통한 다양한 민간 교류를 증명하던 통신사를 발굴하고 소개해 온 노력의 결실이다. 통신사는 현대 다시 시작된 양국 평화시대의 상징물로서, 또 우리나라와 일본 두 나라 사람들이 기억해야 할 유­­­산으로서 여전히 유효하다고 할 것이다.
   

구지현

 

선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