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원 씨는 전공 수업에서 비싼 교과서 대신 전자책 형식의 무료 교과서를 이용한다. 공강 시간에는 늘 페이스북에 접속해 친구들의 일상을 살펴본다. 아직 차가 없는 박문창 씨는 장을 본 뒤 자동차 공유 서비스를 이용해 무거운 짐을 실어 나른다. 이번 휴가에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최부산 씨는 숙박비를 줄이기 위해 공간 공유 서비스를 예약했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공유’는 우리 삶 깊숙이 파고들었다. 이제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이다.

  정보의 공유를 넘어 오늘날 공유의 범위는 점차 확장되고 있다. 자동차, 옷, 집 등 나의 모든 것을 공유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공유는 이제 하나의 경제모델이다. 공유경제란 한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력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 방식을 말한다. 최근에는 공유경제가 경기침체와 환경오염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사회운동의 일환으로 전개되면서, 세계적인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세계 공유경제 규모는 2013년 기준으로 약 51억 달러 수준이지만, 매년 80%이상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메가트렌드 시장이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우리나라에도 공유경제를 기반으로 한 기업들이 생겨나고 있다.
  공유경제는 기업과 소비자의 이익과 더불어 사회적 이익에도 기여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기업의 이익은 물론, 소비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를 이용하고 사회적으로는 낭비되는 자원을 절약해 환경문제를 해소하는 기능도 하는 것이다. 판매에만 집중돼있던 기존 시장의 크기가 대여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되는 이점도 기대할 수 있다.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공유경제의 미래와 성공 조건>에 따르면, 공유경제를 통해 중고물품 등 상품성이 없는 자원들도 거래가 가능해지면서 새로운 수요시장이 생성될 수 있다. 부산공유경제연구소 이근춘 대표는 “실제로 공유경제의 범위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확대된 개념”이라며 “기존의 시장이나 법에 부딪히더라도 이를 수정하고 보완하여 점차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말했듯 공유경제는 사회적 기여의 측면도 가지고 있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도 장려하는 분위기다. 서울특별시를 시작으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한 조례안을 발의하고 있는 것이다. 부산광역시는 지난해 초 서울특별시에 이어 지방자치단체 중 두 번째로 공유경제에 관한 조례안을 발의하여 통과시켰다. 부산광역시의회 박재본, 이주환 의원이 발의한 ‘공유경제 촉진 조례안’은 ‘공유경제 활동 촉진을 통하여 자원 활용을 극대화하고, 시민 편의 증진과 사회적·환경적 가치를 창출하여 공동체의 회복 및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이바지 한다’는 것에 취지를 두고 있다. 박재본 의원은 “내가 가지고는 있지만 나에게 필요 없는 물건과 공간들이 다른 이들에겐 긴요하게 쓰일 수 있다”며 공유경제의 이점을 강조했다.
  우리나라 공유기업의 경우 대부분이 이제 막 시작하는 소규모 기업이다. 소비 연령대역시 20~30대로 그 폭이 좁다. LG경제연구원 성낙환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아직 공유경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지만 자원이 고갈되는 상황과 속도를 고려했을 때 지속가능한 경제모델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