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의 대학은 취업난에 허덕이는 학생들을 위해 졸업요건을 갖춰도 졸업을 유예할 수 있도록 ‘졸업유예제도’를 도입했다. 대학생 신분을 유지한 채 취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한 것이다. 이에 실제로 졸업을 유예하는 학생의 수도 늘고 있다.

졸업유예생 수는 매년 상승 중
 졸업유예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대학들의 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대학교육연구소가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졸업유예제도 관련 실태조사 및 정책 방침’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기준으로 176개 대학 중 62.5%인 110개 대학이 졸업유예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업이 어려운 지방대학의 경우, 117개 대학 중 70.1%에 해당하는 82개 대학이 졸업유예제도를 실시하고 있어 수도권 대학의 실시 비율보다 월등히 높았다. 동시에 졸업유예를 신청하는 학생의 수도 늘고 있다. 교육부가 2011년 이전부터 졸업유예제도를 시행 중인 대학 26곳(재학생 1만 명 이상 기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졸업유예 신청자는 2011년 8,270명, 2013년 14,975명 그리고 지난해 18,570명으로 가파르게 상승 중이다. 
  우리학교의 경우도 지난 2010년에 졸업유예제도를 도입했다. 학사과 관계자는 “취업준비 대상자가 취업경쟁력을 강화하고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과 자질을 겸비하도록 하고자 도입했다”고 전했다. 해당 제도를 통해 졸업요건을 다 갖춘 학생이 최대 2학기 동안 졸업을 유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불어 도서관 이용, 취업 지원 등 일반 재학생과 같은 혜택을 제공한다. 졸업유예생이 학점을 이수하지 않을 경우 작년 기준으로 기성회비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부해야 한다.
 
졸업유예 고려 학생 53%, “기업들이 졸업예정자 선호해”
  졸업을 유예하는 학생들이 점차 늘고 있는 상황에서, <부대신문>은 졸업유예제도에 대한 우리학교 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지난 11일부터 14일까지 4일간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300명의 응답자 중 62%(186명)가 ‘졸업유예를 고려해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졸업유예를 고려하게 된 이유로는 ‘취업을 할 시 기업에서 졸업자보다 졸업유예자를 더 선호한다고 알고 있어서’라는 응답이 53%(98명)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김기원(전기공 12) 씨는 “기업에서 졸업자보다 졸업예정자를 더 선호한다는 것을 선배들을 통해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서 27%(51명)의 학생이 ‘대학생 신분으로만 할 수 있는 취업 준비(학교 시설 이용, 인턴·공모전)를 하기 위해’라고 응답해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기업들이 졸업자보다 졸업예정자를 더 선호한다는 학생들의 인식에 대해 기업들은 공식적으로는 ‘졸업자와 졸업예정자 간에 차별을 두고 있지 않다’고 밝히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취업정보업체 ‘사람인’에서 216개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52.8%가 ‘공백기가 긴 지원자를 꺼리는 편’이라고 답했다. 같은 곳에서 기업 인사담당자 36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도 ‘취업을 위해 휴학이나 졸업유예를 하는 구직자’에 대해 49.3%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이처럼 대부분의 학생들은 취업을 준비할 기간을 마련하기 위해 졸업유예제도가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장재영(사회복지 11) 씨는 “취업이 어려운 만큼 졸업유예제도는 학교에서 지원해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다른 의견도 있었다. 현재 졸업을 유예 중인 한 학생은 “처음엔 기업에서 졸업예정자를 선호한다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생각이 바뀌었다”며 “면접에서 졸업 후 취업 준비를 했다고 말해도 잘 취업하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졸업을 유예하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대학교육연구소 김삼호 연구원은 “사회로 나가고 싶어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면 곧바로 졸업한 학생들과의 경쟁에서 불리해진다”며 “기업이 졸업자보다 졸업예정자를 선호하고 있다는 것은 추측이지만, 상식에 비춰 봤을 때 개연성이 크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 대해 우리학교 교수들은 ‘기업이 취업에 대한 부담을 전가하고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사회과학대학의 한 교수는 “기업의 관행을 떠나서 학생들이 취업을 위해 학교 재적 기간을 늘리는 것은 사회구조적인 문제이고 전체 사회적 비용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라며 “취업에 대한 부담은 학생 개인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채백(신문방송) 교수도 “기업에 의해 대학 교육이 흔들리는 것은 큰 문제다”라며 “전체 사회적인 차원에서 상당한 추가비용이 발행하는 것이므로 기업에서 신입사원 선발 방식을 합리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