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기술을 실현하는 것은 쉽지 않다. 기술을 생산하고 소비할 공동체의 정치· 경제·문화·법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서 고안하고 보급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적정기술을 활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리고 이것을 활성화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실현 가능성 낮다, 그럼에도 필요하다?
  적정기술을 추구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현대사회의 ‘균형’을 바로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적정기술은 커져 가는 경제 수준의 차를 막고 벌어져가는 공동체 사회의 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해당 기술을 생산하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제3세계와 선진국 사이의 기술적, 경제적 격차를 바람직한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적정하지 않은 것을 제자리로 돌려놓을 수 있는 것도 이유 중 하나다. 최근 ‘물질 만능주의’가 심화되면서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돈이면 모든 것이 해결되는 듯한 ‘비정상적’인 행태가 나타나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적정기술이 정상적이지 못한 것을 바로 잡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사)나눔과 기술 장수영 이사는 “환경오염, 빈부 격차 등을 적정기술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며 “이를 실현하는 것은 현재의 편리함만을 위해 장기적인 것을 보지 못한 것을 되돌리는 일”이라고 말했다.
 
더욱더 ‘적정’한 기술로 거듭나야
  적정기술이 진정한 ‘인간 중심의 기술’로 거듭나는 것은 쉽지 않다. 일각에선 적정기술에 경영성을 접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단순히 기술을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소외된 계층이 구매할 수 있는 기준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염두해야 할 점은 대표적으로 △효과적인 유통방안 △현지 제작 방식 △제품의 접근성과 가용성이다. 장수영 이사는 “빈곤 계층이 감당할 수 있는 사업을 벌여야 한다”며 “소외계층에게 일회성에 그치는 것이 아닌 계속해서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줘야 한다”고 전했다.
  초기의 합리적인 지원을 통해 적정기술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마을 단위의 지역 공동체에 적정기술이 잘 활용되려면 △기반시설 마련 △주민들의 인식 개선 △설비 지원 등의 정책적인 뒷받침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2013년에 교육과학기술부가 과학기술국제화사업 시행계획을 제시했다. 이는 개발도상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해당 기술이 현지에서 잘 작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 대표적인 사례다. 이처럼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개발도상국이 더욱 ‘적정’해질 수 있도록 안정화된 지원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