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결한 위생관리 우선으로 개선되야

 
 
 
 
   
   
 
 
 
 
|학교 주변 식당·주점 설문조사|
  학교 주변 식당의 위생실태를 조사하고자 학생 182명과 학교 주변 식당·주점 점주 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효원인 81.3%(148명)가 학교 주변 식당·주점의 위생상태에 개선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12.1%(22명)은 ‘개선이 매우 필요하다’고 강조했으며 응답한 학생들은 △비위생적인 식당 38.9%(58명)과 △잔반재사용 34.9%(52명)을 가장 개선돼야 할 점으로 꼽았다.


  학생들은 식당·주점에 대해 80.2%(146명)가 ‘만족하는 편’이라 답했지만 식당·주점의 청결에 대해서는 70.9%(129명)가 ‘청결하지 못하다’고 평가했다. 공과대학 ㄱ 씨는 “대학가 주변이라 가격이 싼 것에는 만족하지만 위생관리에 좀 더 신경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식당·주점가에 만족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믿을 수 없는 위생상태’를 79.1%로 선택해 학생들이 식당·주점의 ‘위생’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잔반재사용, 듣거나 목격한 학생 대다수
  학생들은 식당·주점의 잔반재사용에 대해 61.5%(112명)가 듣거나 목격했다고 응답했다. 법과대학 ㄴ 씨는 “북문 모 식당에서 남긴 잔반을 버리지 않고 모으는 것을 봤다”며 “잔반 외에 밥도 다시 사용한다는 얘기도 공공연하게 들린다”고 말했다. 학생들은 설문조사에서 정문·북문 식당에서 김치·깍두기 등 기본반찬 재사용이 특히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듣거나 목격한 학생들 중 항의하거나 고발조치를 취한 학생들은 8.9%(10명)로 불과해 잔반재사용에 대해 ‘다신 안 가’ 60.2%(68명)거나 ‘무시한다’ 31%(35명)로 소극적으로 대응했다. 이정영(역사교육 1) 씨는 “북문 모 식당에서 잔반을 모으는 것을 목격은 했으나 딱히 방법이 없어 무시했다”고 말했다. 정문 모 주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했던 사회대 한 학생은 “잔반재사용 등 비위생적인 광경을 봤지만 괜히 문제될까봐 모른 척 했다”고 말했다.


  학생들이 식당·주점의 위생문제를 고발하려면 식당허가를 한 관할 지방자치단체(지자체)에 민원을 제기해야한다. 하지만 관할 지자체에 학생들이 민원을 제기하더라도 해당 식당에 대한 점검이나 조치가 시행되기는 힘든 실정이다. 금정구청 위생과 담당자는 “사진 등 증거물이 없으면 제재하기 힘들다”며 “소비자위생감시원이 점검에 나서긴 하지만 현장적발이 힘든 점과 사업자의 반발 때문에 쉽게 해결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또한 부산 식품안전을 담당하는 부산식약청에서도 현실적으로 도움을 받기 힘든 실정이다. 부산 식약청 식품안전관리과 관계자는 “점검은 가능하나 처분을 내리는 조치를 취하는 곳은 관할 지자체라 점검하는 일이 드물다”고 말했다.

 

식당·주점 55.6% ‘잔반재사용 한 적 있어’
  식당·주점은 ‘청결을 보장할 수 있는가’에 대해 100%가 ‘보장한다’고 응답했다. 위생문제에 대해서는 69.4%가 ‘불만을 못 들었다’로 대답했다. 정문 ㄱ 식당은 “철저하게 위생관리를 하고 있어 문제될 것이 없다”고 말했다. 북문 ㄴ 식당은 “학생들이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에 대한 불만에 대해 최대한 신경쓰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한 개선에 대해서는 63.7%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와 함께 학교 주변 식당·주점들은 학생들에게 ‘믿어달라’고 입을 모았다. 식당·주점들은 “어머니의 마음으로 음식을 준비하고 있다”며 “학생들에게 좋은 음식을 대접하려한다”고 말했다.


  잔반재사용에 대해서는 55.6%가 ‘예전에 한 적 있다’고 답변했다. 북문 ㄷ 식당은 “예전에는 잔반을 재사용했었다”며 “현재는 잔반재사용이 불법인 점과 학생들의 불만에 잔반을 재사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체 매장 중 잔반재사용을 막기 위해 ‘잔반모아서 버리기’와 ‘반찬 셀프제도’는 61.1%가 시행한 적이 없다고 답변했다.

 

학생과 식당·주점, 대화와 제도개선 함께해야
  부산녹색소비자연대 이자영 팀장은 “학생은 음식물을 남기지 않고 상인은 잔반을 재사용 하지 않아 소비자와 상인 모두 득이 되는 녹색소비문화가 바람직하다”고 당부했다. 하지만  학교 주변 식당·주점의 위생문제는 소비자들의 미비한 대응과 법 제도의 맹점 때문에 현실적으로 식당·주점의 양심 맡겨진 상황에 있어 ‘녹색소비문화’가 정착되기 힘든 실정이다.

  학내 식당의 경우, 총학생회에서 식당모니터링 요원을 모집해 실시해서 개선에 노력하고 있지만 학내 외 식당에 관해서는 관련 정책이 없는 실정이다. 학원자주화추진위원회 김진성(신문방송 4) 위원장은 “지금까지 총학생회에서 학교 밖 식당의 위생문제는 정책이나 방안이 강구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42대 총학생회 선본에 나선 신창주(경제 05, 휴학) 씨는 “학교 주변 식당·주점의 위생문제에 대해 학생들의 의견과 요구가 형성되면 정책으로 추진방향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소비자 보호법의 맹점이 지적됐다. 서희석(법학) 교수는 “식품 위생관련 소비자 보호 제도가 불만 제기 후 해결하는 절차로 진행돼 현실에서 많은 맹점을 지닌다”며 “식품 위생관련 행정규제강화를 하나의 방안으로 생각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