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언론의 위기라고들 말한다. 위기의 이유로는 여러 가지가 제시된다. 그중 하나가 대학본부에 의한 끊임없는 검열과 편집권 침해이다. 모든 대학이 그러하진 않지만, 적지 않은 대학에서 대학 언론사들의 편집권이 침해받고 있다. 기존의 대학언론들이 대학본부에 재정적으로 예속된 산하기구라는 점을 악용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 이 상황에 대해 구조적으로 반기를 든 이들이 있다. 알리, 찌라시, 퍼블리카 등 다소 낯설고 생소한 이름을 내세운 이들을 우리는 대학독립언론 혹은 대학자치언론이라고 부른다. 이들은 더 이상 대학본부의 산하기구이기를 거부했다. 대학으로부터 재정적으로 독립을 이루면서 자연스럽게 편집권의 독립도 이루었다. 그들은 왜, 어떻게 탄생하게 된 것일까?

기존의 대학언론에서 독립언론의 길로

기존의 대학언론에서 활동을 하던 사람들이 만든 독립언론사들이 있다. 국민저널이나 외대알리가 그렇다. 국민저널은 국민대신문과 방송국에서 해직당하거나 사직한 기자들이 주축이 되어 만든 독립언론사다. 국민대학교는 노골적으로 신문사와 방송국의 편집권을 침해했다. 그러던 중 당시 방송국 실무국장이었던 유지영(국민대 국어국문 4) 씨가 전국대학강사노조 황효일 국민대 분회장의 인터뷰 기사를 허가 없이 내보냈다는 이유로 해직 당했다. 여기에 신문사에서 자진 사직한 기자들과 단과대학 학생회장 몇 명이 힘을 모아 독립언론사를 만들었다. 유지영 씨는 그렇게 만들어진 국민저널의 편집장이 되었다.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외대학보는 잦은 검열과 기사 삭제를 당했다. 총학생회 선거 특집호가 검열로 인해 나가지 못하게 되자 외대학보 기자들은 A4용지에 기사를 인쇄해 호외를 발행했다. 대학본부는 호외 발행에 대한 보복으로 당시 편집장이었던 강유나(한국외대 영어 4) 씨의 사임을 종용했다. 강유나 씨는 결국 스스로 외대학보를 떠났다. 그는 사임 이후 독립언론 창간을 위해 움직였다. 앞서 창간된 국민저널이 대학본부와 총학생회의 비협조적 태도와 재정적인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것을 지켜보았던 그는 새로운 시도를 하기로 했다. 영어대학 학생회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어 총학생회에 독립언론의 필요성을 역설함과 동시에 대학언론협동조합의 기획단에 참여했다. 그렇게 한국 최초로 협동조합의 형태를 한 독립언론사 외대알리가 한국외국어대학교에 탄생했다.

대학 안에 공론의 장을 만들자

그런가 하면 대학사회에 공론의 장이 필요함을 느끼고, 그 역할을 할 독립언론을 만든 경우도 있다. 중앙대학교는 지난 2010년부터 강도 높은 구조조정과 이에 반대하는 학생들에 대한 징계를 적극적으로 진행했다. 동시에 교지인 중앙문화나 학보인 중대신문 같은 학내 언론기관들에 대한 검열과 탄압도 자행했다. 당시 자유인문캠프를 꾸려나가던 이들은 일련의 과정들을 지켜보며 대학 안에 학생들이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공론의 장의 필요성을 느꼈다. 그렇게 좀 더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매체로 만들어진 것이 잠망경이다.

성균관대학교에서도 비슷한 일들이 있었다. 운동권이나 학생회에서 활동했던 사람들 중 몇몇은 학생회나 운동조직을 통한 활동에는 한계가 있음을 느꼈다. 또 활동을 하면서 얻은 정보들을 학우들에게 알릴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고급찌라시라는 독립언론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그러는 사이 학보사인 성대신문은 대학의 검열에 의한 결호와 배포중단에 시달렸다. 이런 상황은 독립언론의, 고급찌라시의 존재를 부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성신 퍼블리카가 만들어진 배경 역시 별로 다르지 않았다. 지난 2012년 하반기, 성신여자대학교는 학생회관을 리모델링하겠다며 과방과 동아리방을 없애겠다고 발표했다. 학생들의 입장에서는 어처구니가 없는 일이었지만, 학내의 언론사들은 이런 문제들을 공론화 시키는 역할을 하지 못했다. 이 사태를 지켜보며 학생들이 알아야 할 정보를 전달하고, 좀 더 생동감 있는 학생사회를 만들 공론의 장의 역할을 할 언론사의 필요성을 절감한 사람들이 있었다. 그리고 그 필요성은 성신 퍼블리카의 창간으로 이어졌다.

대학언론이 바라보는 독립언론

기존의 학내언론에게 독립언론은 어떤 존재일까. 여전히 대학조직의 형태로 언론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대학조직 밖의 이들은 어떻게 보일까. 기존 학내언론의 구성원들이 독립언론에 대해 통일된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국민대신문 박상희 편집장은“개인적으로 국민저널이 있음으로 인해 더 열심히 활동 해야겠다는 자극을 받곤 한다”고 말했다. 성대신문 조수민 편집장은 “고급찌라시가 학내 사안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공론화하려고 하는 것은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면서도 “독립언론이 학보사의 대안적인 성격을 가지긴 하지만, 학보사의 완전한 대안이라고 보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본다”고 전했다.

 끝이 아닌 시작

독립언론사들이 만들어진 대학들에는 공통점이 있다. 학내의 기존 언론사는 대학 측의 탄압 등의 이유로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 대학을 향한 제대로 된 비판이 이루어지지 못했고, 학생들은 당연히 알아야 할 것들을 알지 못했다. 그리고 그 상황에 변화를 만들고자 한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은 학생들의 알 권리를 위해, 대학 안에 공론의 장을 만들기 위해 나섰다. 그 결실은 독립언론이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하지만 독립언론의 창간이 곧 문제의 해결을 의미한 것은 아니었다. 독립언론의 창간은 새로운 시작이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