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버스, 사소하지 않은 이야기]①교통약자의 발 ‘저상버스’?

   
▲ 휠체어 이용승객이 슬로프를 이용해 승하차하기 위해서는 인도에 매우 근접하게 정차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저상버스 대부분이 인도와 멀찍이 떨어져 정차하고 있다
 
   
 
 ①교통약자의 발 ‘저상버스’?
②누구나 겪었을 법한 흔한 이야기
③‘공공성’을 찾기 위한 길
 
‘시민의 발’로 불리는 부산의 시내버스. 그러나 국토교통부 조사에 따르면 이용자 만족도 부문에서 4.7점(7점 만점)을 받았다는데. 사소한 것 같지만 결코 사소하지 않은 시민들의 불만들! 부산 시내버스의 현 주소를 돌아보고 해결책을 찾기 위한 기획 시리즈가 시작된다.
 
  부산에서 장애인 인권 운동을 하고 있는 사상구장애인자립생활센터 노경수 소장. 노 소장은 최근 버스 운전사로부터 두 차례 연속으로 승차 거부를 당했다. 중증장애 1급이라 휠체어를 타고 있어 저상버스를 타야하지만 운전기사가 ‘탑승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이유로 이를 거부한 것이다. 노 소장은 “저상버스의 수가 적어 한참을 기다려 버스를 타려고 해도 탑승 거부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며 “탑승한다고 하더라도 다른 탑승객들이 눈초리를 보내는 경우도 있다”고 토로했다.
 
  저상버스는 차체 바닥이 낮고 출입구에 계단 대신 경사판이 설치된 버스로서, 노약자와 장애인 등 교통약자들을 위한 대중교통 수단이다. 승하차시 차체가 옆으로 기울고, 리프트가 작동되기 때문에 일반버스 차량의 가격보다 2배가량 비싸다. 정부는 지난 2005년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이하 교통약자 편의증진법)’을 도입해 저상버스 대중화를 위해 애쓰고 있지만, 정작 부산광역시(이하 부산)에서 교통약자가 저상버스를 이용하는 비율은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값비싼 저상버스를 들여놓고도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가장 큰 이유는 부족한 저상버스 수가 적어 배차 간격이 매우 넓다는 것이다. 교통약자 편의증진법에 따르면 광역시는 전체 시내버스 대수 중 50% 이상을 저상버스로 운영해야하지만, 9년이 흐른 현재 부산시에 도입된 저상버스의 비율은 13.5%(339대)에 불과하다. 서울특별시의 저상버스 도입률 25%에 한참 못 미친다. 버스 수가 부족해 자연스레 배차 간격도 늘어났다. 적어도 정류장에서 20분 이상은 기다려야 저상버스를 볼 수 있는 상황이다.
 
  저상버스가 도입된 노선의 수도 적다. 부산시 전체 시내버스 노선 133개 중 47개 노선에만 저상버스가 투입된다. 그나마도 주요 관광지나 관공서, 병원을 지나가는 노선은 많지 않다. 버스회사 측이 저상버스 투입을 꺼려하기 때문이다. 부산시청 대중교통과 김상석 주무관은 “저상버스는 차체가 낮아 과속방지턱이나 높은 경사를 지나면 버스 파손이 자주 일어난다”며 “버스회사와 부산시가 함께 협의해 노선을 결정하지만 부산 지형의 특성상 쉽지가 않다”고 전했다. 이에 유동철(동의대 사회복지) 교수는 “이동권은 기본적인 권리”라며 “버스의 공공성 확충을 위해서는 지형적으로 운행이 어려운 노선을 제외하고는 저상버스를 도입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저상버스에 대한 인식 부족도 이용률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저상버스 운전기사가 리프트 작동법을 모르거나, 시민들이 시간 지체를 이유로 교통약자에게 눈치를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사상구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지난 4년간 부산시 저상버스 운행을 71회 모니터링한 결과, 운전기사가 리프트 작동법을 모른 경우가 총 20회, 승객들의 불친절이 총 10회로 나타났다. 조혜란 간사는 “버스가 정류장과 거리가 먼 곳에 정차하거나 정류장 인근 구조물로 휠체어 통행이 힘든 것 또한 이용률이 저조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부산시는 2016년까지 저상버스 130대를 추가 도입해 보급률을 높일 예정이지만, 정작 이용률 증진을 위한 대책은 미비한 실정이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