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기동물의 수는 늘어가고 있지만 보호소는 양⋅질적으로 충분하지 못하다

반려동물의 증가와 함께 유기동물의 수도 점차 상승세를 그리고 있지만 유기동물을 보호할 환경이 마땅치않아 문제다. 또한 유기동물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반려동물 등록제의 실효성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1인가구와 노인가구 등이 증가하면서 전국적으로 가정이 보유하고 있는 반려동물의 개체 수는 지난 2010년 기준 약 1,000만 마리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반려동물 관련 산업은 1조 8천억 원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에 따라 길에 버려지는 유기동물의 수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부산시의 경우, 지난해 접수된 유기동물 개체 수는 약 5,300마리로 2010년 약 5,500마리가 접수된 이래 그 수를 유지하고 있다. 김유연(부곡3동, 26) 씨는“ 애완동물을 키우다 보면 경제적, 심리적으로 부담감이 드는 것은 사실이다”며“ 책임감이 부족하면 유기동물이 생기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토로했다.
 
그러나 유기동물을 보호할 환경은 턱없이 열악하기만 하다. 부산에는 사상구에 2곳, 해운대와 북구, 연제구에 각각 하나씩 유기동물 보호소가 자리잡고 있다. 청조동물병원 이장희 수의사는“ 15개 구와 1개 군의 유기동물을 고작 5개의 보호소가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라며“ 지역별로 보호소를 고루 분포시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보호소에 상주하는 담당자는 전문 수의사가 아닌 봉사자로, 위기상황 시 대처가 어렵고 봉사자의 대우마저 좋지 않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유기동물의 증가에 대한 방안으로, 농림수산식품부는 반려동물 등록제를 올해부터 전면 시행한다. 반려동물의 목에 인식 칩을 달거나, 피부에 마이크로 칩을 내장하는 방법으로 생후 3개월 이후의 반려동물은 꼭 등록해야 한다. 금정구청 일자리경제과 박상우 담당자는“ 반려견을 등록하면 광견병 접종 시술비를 보조하는 등의 인센티브를 적용하고 있다”며“ 7월부터 의무화하기로 한 만큼 2013년은 이전 평균 등록 수보다 월 50~100마리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반려동물 등록제는 일일이 가정을 찾아다니며 확인할 수 없어 강제성이 떨어지고, 등록 방식에 있
어서도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제기됐다. 부산동물학대방지연합의 관계자는“ 1~3차의 경고를 거쳐 40만원 상당의 범칙금을 내는 방식도 문제지만, 등록 여부를 단속하지 않기 때문에 유기동물 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을지 의심스럽다”고 밝혔다. 또한 인식 칩을 액세서리 형태로다는 등록 방법은 칩을 제거·훼손하면 유기하거나 잃어버려도 찾을 수 없게 된다.
 
유기동물의 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현재로서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주장이다. 이장희 수의사는“ 반려동물을 잃어버렸을 때 무사히 찾으려면 주인이 직접 등록하는 수밖에 없다”며 반려자가 적극적으로 등록제에 참여할 것을 호소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