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줘도 못 먹나, 국가장학금 소진율 반 토막!’ 이번 해 우리학교 국가장학금 소진율 결과에 대한 일부 언론의 평이다. 이 때문에 지난달 26일에 열린 국정감사에서도 지난해 대비 국가장학금 소진율이 반으로 줄었다는 질타가 이어졌다. 국가장학금 소진율이란 국가가 가배정한 장학금 예산 중 대학이 실제로 지원받은 액수를 말한다. 이에 필자는‘ 반 토막’이라는 자극적인 말을 신봉한 채, 무엇이 잘못됐는지 취재하기 위해 학생처를 찾아갔다. 장학담당 직원을 취재한 결과 등록금 인하와 장학금 확충, 이 두 사안이 우리학교의 소진율을 깎아 먹는 주범이었다. 하지만 진범은 따로 있었다. 언제 어디서나 문제가 되는 우리학교의‘ 재정’이다.

근본적인 문제를 꼬집어 봤다. 우리학교 소진율은 왜 50%밖에 되지 않을까, 서울대학교는 어떻게 100%를 넘겼을까. 서울대는‘ 서울대’이기 때문일까. 서울대 관련 기사를 보면 어느 회사 아무개 회장이 몇 십 억을 기부했다는 이야기를 심심찮게 볼 수있다. 100억 원이 넘는 기부도 그들에겐 그저 학내‘ 단신’ 수준이다. 하지만 우리학교는 어떠한가. 효원문화회관 사태의 400억 원 빚은 여전히 위협적이고, 동문들과 사회의 기부는 아쉽기만 하다.
 
하지만 우리학교는 이러한 재정적 지원에 목말라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경제적 복지를 위해‘ 장학사정관제’를 시행하고 있었다. 장학사정관제란 특수한 사정으로 국가장학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 학생들을 위해 마련된 제도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학들은 이 장학사정관제도를 나몰라라 했다. 대학의 장학사정관제 구성과 운영, 신청자 모집 및 심사 등 절차에 따른 행정력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또한 정부로부터
장학사정관제 예산을 추가로 지원받는 것이 아니라 이미 대학별로 지급된 국가장학금 2유형 지원금 내에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대학은 이 제도를 실시하길 꺼려할 수 밖에 없다. 결국 대학의 입장에서 장학사정관제는 예산의 이득도 없는 번거로운 제도인 것이다. 심지어 장학사정관제를 분석한 유기홍 의원은“ 장학사정관제 시행 실적이 저조한 것은 대학들이 복잡한 행정절차에 따른 행정력 부담이 크다는 이유로 기피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우리학교는 기존의 예산에서 사용해야 한다는 부담에도 불구하고 그 누구도 강요하지 않은 장학사정관제를 주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실질적으로도 많은 학생들이 이 제도를 통해 도움을 받고 있었다. 취재 당시 장학담당 직원은“ 생각보다 특수한 경우가 많이 존재 한다”며“ 한번은 홀어머니와 함께 살던 학생이 이 제도를 통해 학비를 지원받은 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 학생은 홀어머니와 함께 살 때는 소득 분위가 낮아 국가장학금을 받으며 학교를 다녔다. 하지만 어머니가 재혼한 후 계부의 재산으로 인해 소득분위는 높아졌지만, 그 계부는 학비를 내주지 않아 학교를 못 다닐 상황에 처했다. 이후 이 학생은 개인 면담과 사실 확인 등의 절차를 밟아 장학사정관제를 통한 장학금을 받았다고 한다.
 
과연 대학이 중요시 해야하는 것이 단순히 지원 받은 금액을 수치화하는 것일까. 아마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학생들을 실질적으로 도우려하는 대학의 자세라고 생각한다. 그저 급급하게 숫자를 올리는 데 열중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학생들이 어떻게 생활하는지를 보살피는 것이 진정한 대학의 모습이 아닐까.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