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을기업‘ 소풍’에서 직접 운영하는 카페에서 주민들이 담소를 나누고 있다

마을기업 육성은 지난 2010년 안전행정부(이하 안행부)와 지방자치단체 (이하 지자체)의 주도로 시작됐다. 지역 공동체의 안정적인 소득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도입됐지만, 도시에서의 마을 공동체 형성 자체가 어렵고 기업의 지속가능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마을기업 운영은 공동체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일반기업보다 고려해야 할 것이 많다. 정부 보조금 및 교육·컨설팅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이 다섯 명 이상 출자해야하며 해당 마을 주민의 비율이 전체 기업 운영 인원의 70%를 넘어야 한다. 농·어촌 지역의 경우 공동체 기반이 잘 다져져 있어 마을기업 형성이 비교적 쉽지만, 도시에서는 공동체 형성부터 시작해야하기 때문에 더욱 어렵다. 실제로 부산 마을기업의 경우, 상인회, 여성회 등 특정 주민만 참여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사회적기업연구원 하태영 연구원은 “마을기업도 ‘기업’이다보니 주민 모두의 참여는 현실적으로 힘들다”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주민을 채용하거나 지역 행사를 개최하는 등 공동체 형성에 기여하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동체 정신의 부족은 도덕적 해이를 낳아 기업 운영을 중단시키기도 했다. 올해 초, 해운대구와 금정구의 마을기업 두 곳이 정부 보조금 유용 또는 횡령 혐의로 수사를 받았다. 김순홍(인천대 무역) 교수는“ 지역 공동체 정신을 갖춘 마을기업만이 원활히 운영될 수 있다”며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마을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홍보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마을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대부분의 마을기업은 이미 시장에 보편화된 사업 아이템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소량 생산·판매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수익을 내기 어려운 구조라는것이다. 때문에 정부 지원이 끊긴 후 경영난으로 폐업하는 마을기업도 있다. 곽선화(경영) 교수는 “마을기업 CEO는 비전문가이므로 효율적인 경영구조를 구축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며“ 일반 기업에 준하는 수익성 분석과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마을기업의 지속을 위해서는 지자체의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과 체계적인 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김순홍 교수는“ 네트워크를 구축해 상호 협조하고 중간지원조직을 통해 전문적인 경영 교육을 받아야 한다”며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현재 부산에는 지역 마을기업 간 협의회가 구축된 상태이며 중간지원조직에서 컨설팅과 교육도 제공하고 있다. 부산시는 마을 상품의 체계적인 관리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달 16일 마을상품 공동브랜드‘ 해품선’을 출범하기도 했다. 부산시청 도시재생과 박상성 씨는“ 마을만들기 사업의 일환이지만 마을기업 상품도 일부 포함됐다”며“ 마을 상품을 브랜드화해서 경쟁력도 갖추고 관리위원회 심사를 통해 체계적인 품질관리도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마을기업의 자립을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뒷받침도 필요하다. 정부에서는 세무 및 회계문제 컨설팅뿐만 아니라 판로 구축을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안행부 지역경제과 최윤관 주무관은“ 보조금 관리 등을 위해 심사기준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마을기업 자체의 노력도 요구된다. 하태영 연구원은“ 마을기업은 2년간의 지원기간 동안 품질 및 서비스 향상을 통해 사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