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부 경남지역의 유일한 지방의료원인 진주의료원이 폐업될 위기에 처했다. 계속되는 자와 늘어나는 부채 때문에 더 이상 의료원을 유지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공공의료기관이 수익성을 이유로 폐지되는 것에 반발하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지방의료원은 의료양극화 및 국민건강 격차 해소, 의료서비스의 지역 불균형 해소, 국가보건의료 위기 대응 등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설립한 공공의료기관이다. 이곳에선 민간병원이 수익적 측면에서 감당하기 힘든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 필수진료과를 운영하고 있으며, 응급진료, 감염병 격리치료, 만성질환자관리, 호스피스 환자보호, 가정방문간호 등 국가 보건의료정책을 수행한다.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 김성수 기획홍보팀장은 지방의료원을 “양질의 진료를 제공하며 다양한 공공의료사업을 수행하는 곳”이라며 “국가적인 재난이 발생하거나 심각한 감염병이 발생했을 경우 우선적으로 의료정책을 행하는 만큼 공공의료원의 중요성은 더 말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부산유일의 공공의료기관인 부산의료원에서는 정기적으로 시민들을 위한 사업을 실시한다. 부산의료원 관계자는 “진료비를 부담하기 어려워 고통을 참고 있는 저소득층에게 실질적인 의료혜택을 주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부산의료원에서는 인공관절치환술, 백내장 무료수술, 배뇨장애 무료수술 등 다양한 공공의료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지방의료원은 의료 취약지, 취약계층을 위한 의료안정망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최소한의 진료비를 위한 적정진료, 무료봉사 등 공익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적자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나영명 정책실 장은 “공공사업을 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수익의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발표한 ‘2011년 지방의료원 경영 실태 분석 자료’에 따르면 전국 34개 의료원의 누적 부채는 5,014억 원에 달한다. 병원 1곳당 151억여 원의 빚을 안고 있다는 얘기다.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곳은 7곳밖에 없지만 이나마도 사정이 좋지만은 않다. 포항의료원 경리담당자는 “공공의료원은 장례식장, 매장 운영 등의 부대수익을 제외한 의료수익이 얼마만큼 올라가느냐에 따라 흑자와 적자가 판별돼 안정적인 운영이 힘들다”며 “포항의료원의 경우에는 2011년도에 흑자를 기록했지만 지난해에는 다시 적자로 전환됐다”고 전했다. 군산의료원도 힘든 여건 속에서 직원 들이 희생해 전년도 대비 40% 이상 적자를 줄였다. 의사들은 무급봉사를 실시했고 원장이 직접 나서 진료를 봤으며 직원들이 스스로 병원 발전 기금을 모금하기도 했다.

국가가 전국의 지방의료원에 지원하는 돈은 연간 400억 원가량에 불과하다. 34개 지방의료원 한곳에 10억 원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때문에 지자체에서 자체적으로 경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나영명 정책실장은 “공공의료사업을 수행하는 의료원인만큼 지방의료원의 유지는 정부에서 책임을 져야한다” 며 지역특성에 맞는 특화된 공공의료사업을 하는 등 공공의료원 자체적인 노력도 필요하다” 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