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이슈⋅문제 단발성 뉴스 넘어 지속적인 관심 가져야

5월 13일 자 <부산일보> 1면에 “해운대관광리조트 투자 외국인에게 ‘영주권’”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부산 해운대관광리조트와 동부산관광 단지 일부가 법무부가 지정하는 ‘부동산투자이민제’ 적용 지역으로 지정돼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고 보도됐다. <국제신문>도 같은날 2면 “해운대리조트⋅동부산관광단지, '부동산 투자이민제' 적용된다”와 14일 자 “동부산단지⋅해운대리조트 외자 유치 잰걸음”에서 이들 지역에 일정 금액 이상을 투자하는 외국인에게 비자와 영주권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지지부진했던 투자 유치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산시가 경제 활성화를 내세우며 추진된 대규모 개발 사업이지만, 마땅한 투자자가 나서지 않아 난항을 겪던 차에 결정된 것이어서 부산시 입장에서 반가운 소식이었을 것이고, 지역신문도 부산시와 시행사업자의 긍정적인 전망을 중심으로 보도했다.

부산시 대형 개발사업 호재 부각… 비판 목소리는 누락

애초 해운대관광리조트 개발 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시선만 있지는 않았다. 우선 해운대 해변가에 100층이넘는 초고층 건물을 짓는다는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는 해운대 경관을 비롯한 각종 환경파괴에 대한 우려를 낳으며 환경단체의 반대를 불렀고, 용도 변경을 통한 무리한 주거 공간 허용은 사업자에 대한 특혜 의혹을 불렀다. 이밖에 교통 혼잡 문제, 공공성 부족 등의 문제로 많은 시민단체들이 우려하고 반대한 사업이다. 동부산관광단지도 허남식 시장 공약으로 투자가 확정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추진하다 사업방향만 여러 차례 바뀌며 표류해왔고, 부지매입에 따른 이자 비용만 천억 원 넘게 세금으로 탕진한 사업이다. 투자자의 사업성을 보장하기 위해 관광지내 주거단지 허용을 추진해 민간사업자에 대한 특혜라는 비판이 제기됐고 공공성 훼손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지역 신문도 적극 보도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보완되거나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민자 투자자에 대한 혜택을 늘리는 방향으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번에 언론은 해운대관광리조트와 동부산관광단지에 대한 ‘투자이민제 허용’만을 보도했다. 이들 사업에 제기되어온 각종 문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마치 아무 문제도 없었던 것처럼 말이다. 이는 현안에 대해 한 면만 보도한 것이고, 지역 현안에 대해 일관성 있는 문제 제기와 지속적인 비판이 되지 못하고 있음을 말한다.

고리원전 잦은 사고, 안전성 점검 반드시 필요

고리원전의 안전성 문제는 부산 시민의 큰 관심사다. 그런데 4월에만고리 4호기가 두 차례 작동이 멈춰 원전에 대한 부실 점검 논란이 일었고, 5월 들어서는 고리원전 직원의 납품비리가 연이어 드러났다. 시민들은 안전에 문제는 없는지, 사고 수습은 정말 잘 되고 있는지 궁금하고 또 불안하다.

그런데 지역 신문은 이를 단발성 기사로, 단신으로 보도했을 뿐이었다. 지난 대선 당시에는 주요한 지역 쟁점이기도 했고 지역 신문도 수명을 다한 원전에 대한 폐기 문제를 적극 의제화하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큰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언론의 지속적인 문제 제기가 아쉽다.

‘갑의 횡포’ 보도, 사례 나열에만 그치지 않길

남양유업 사태 이후 ‘갑의 횡포’ ‘불공정한 갑-을 관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다. 지역 신문도 지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례를 소개한 보도들이 눈에 띈다.

<부산일보>는“ 실컷 부리고 이제와서 나가라? 학교 안의‘ 乙’ 영어전문강사의 비해”(13일 자), “본사는 물량 떠밀고, 납품처는 입점료 요구”(15일 자)에서 다양한 현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불합리한 행태를 지적했고, <국제신문>은 “지역 기업 67%,대기업 ‘갑질’에 눈물”(14일 자 1면)에서 대기업의 납품단가 인하, 결제일 지연으로 하청기업이 겪는 어려움을 비중 있게 보도했다. 시의적절한 보도로 평가된다. 다만 일회적인 사례 소개에만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관심과 구체적인 해법 모색에 더 비중을 두었으면 한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