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적인 선발 기준 보장해야
  입학사정관 제도에 대해 가장 우려하는 점은 사정관들의 객관성과 신뢰도 문제이다. 제도 시행 첫 단계인 상황에서 사정관이 학생 또는 입시업체와 관련된 비리에 연루될 수 있는 가능성이 우려된다. 사범대 ㄱ씨는 “아직까지 제도가 정착되지 않아서 의심되는 것이 사실”이라며 “객관적인 학생 선발을 위해 다른 조치가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우리학교 민수영 입학사정관은 “입학사정관 개인이 얼마나 노력을 하느냐에 따라 그런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을 지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며 “사정관들 모두 학생에 대한 이해를 넓혀서 좋은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각 대학에서 다양한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의 취지가 왜곡될 수도 있다. 학생들의 가능성을 판단한다는 기준에 따라 일부 수도권 대학으로 학생들의 쏠림 현상이 발생해 자칫 대학 서열화를 심화시킬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건희(생명자원과학 1) 씨는 “사회분위기상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도권 대학으로 진학하기를 희망하는 상황에서 입학사정관 제도가 확대되면 더 심해지지 않겠나”고 우려했다. 김현민(수학) 입학관리본부 부본부장은 “아직까지 지방 대학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이 원인이지 제도 자체가 원인이라고는 할 수 없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입학사정관이 계약직이자 비정규직이라는 점도 문제가 되고 있다. 각 국립대는 공무원 정원 동결로 인해 사정관을 정규직으로 채용할 수 없고, 사립대들은 제도 자체에 대한 투자를 꺼리고 있어 쉽게 해결되기 어려운 문제다. 학생들의 공정한 선발을 담당하는 사정관이 신분 보장을 받지 못할 경우 대학 당국의 기준에 따라 학생을 선발하거나 외부의 압력을 받을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다.


2년만에 전국확대 우려
  미국과 일본에서 수십 년 전에 시작해 정착시킨 제도를 우리나라에서는 상대적으로 단기간에 확대실시 한다는 우려도 있다. 실제 이 제도는 2007년 10개의 시범 대학 선정을 시작으로 2009년 대학입시 때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해 올해 입시에는 전국 50여개 대학이 입학사정관 제도를 도입한 전형을 신설했다.


  이에 대해 한국대학교육연구소 연덕원 연구원은 “아직까지 사정관 수도 적고 인력 확보도 안 된 상태에서 제대로 된 평가가 이루어질지 의문이다”며 “결국 다시 한 번 성적이 중요한 입학기준이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실제 입학사정관전형으로 합격한 학생들도 이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2009년도에 효원인재전형으로 합격한 박신영(무역국제 1) 씨는 “실제 선발된 학생들은 수상경력이나 영어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었다”며 “기준이 한정되고 제한적이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교육 정책 지지도 낮아
  한편, 이명박 정부 출범 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자문위원을 맡았던 홍익대학교 서정화(교육) 교수는 지난 7일 발표한 ‘이명박 정부의 교육개혁 진단 및 시사점’이라는 논문을 통해 입학사정관제도를 포함한 정부의 성급한 교육정책 추진에 대해 비판했다. 이 논문에 따르면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한 교육주체들의 평가가 5점 만점에 3점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 자율화를 통한 사교육비 절감 효과에 대해 가장 낮은 수치가 기록되며 입학사정관제도 시행 이후 사교육 확대 우려를 보여주고 있다. 서정화 교수는 “그 동안 이어져왔던 입시제도 개선에는 공감하고 있다”며 “다만 교육개혁 추진을 너무 성급하게 한 것이 아쉽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