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 사람들에게 체육은 ‘생활 속에 깃든 것’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에게 ‘체육’이라고 하면 체육관에서 하는 특별한 활동이나 경기종목을 떠올린다. 아직 일상 속에 녹아있는 ‘생활체육’의 개념이 와 닿지 않기 때문이다.
  생활체육이란 건강과 여가를 위해 참여하는 자발적인 신체 활동으로 걷기나 수영 같이 생활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체육을 말한다. 생활체육은 국민의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1960년대 노르웨이에서 시작한 트림(Trim) 캠페인에서 유래됐다. 이근모(체육교육) 교수는 “우리나라에서는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1962년 ‘국민체육진흥법’ 제정 이후 생활체육 법제화를 시도했다”며 “하지만 경제적 여건이 열악하고 생활체육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낮아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생활체육을 함께하며 서로 교류하고 공동체 의식을 체득하기도 해 그 가치가 높다. 이현수(체육교육) 교수는 “사람들이 생활체육을 함께 하며 사회적 교류가 활발해지면 정서 순화기능이 발휘돼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며 “국가차원에서도 국민들이 생활체육에 활발하게 참여하게 되면 국민 건강이 증진돼 의료비가 삭감되는 효과 또한 있다”고 말했다. 이근모(체육교육) 교수 또한 “핀란드나 독일을 보면 의료수가가 높은데 비해 의료비 혜택을 보는 사람은 많지 않다”며 “그 이유는 생활체육을 통해 대다수 국민들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생활체육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활체육 참여율은 선진국에 비해 저조한 편이다. ‘2010년 체육백서’에 따르면 주 2~3회 이상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국민의 비율은 41.5%로 드러났다. 반면 선진국(노르웨이·독일 등)국민 50% 이상이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생활체육 참여도가 낮은 이유로는 인식문제가 꼽힌다. 생활체육연구원 김양례 박사는 “학벌주의가 심한 우리나라 사회 분위기상 공부가 신체적 건강보다 우선시 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와 달리 유럽에서는 5~6세 아동들이 스포츠클럽에 가입하게 해 활동하며 노년기까지 다양한 생활체육을 즐기는 문화가 정착돼있다. 김우성(인하대 생활체육) 교수는 “학교 체육수업을 통한 생활체육에 대한 의식제고와 체육의 본질을 짚을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생활체육의 성장을 위해서는 시설확대도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1인당 공공체육 시설면적은 3.12㎡로 적정수준인 5.7㎡에 한참 모자란다. 또한 김양례 박사는 “‘국민체육진흥법’ 제10조에는 정부투자기관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장에는 한 종목 이상의 운동 경기부를 설치·운영하고 경기 지도자를 둬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실질적으로 지켜지지 않는다”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