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이준석 비대위원

새누리당은 기득권의 편이라 청년들이 싫어한다는 인식이 지배적인데 어떻게 생각하나
  동의하기 힘들다. 지지율은 단지 정책과 시기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20대 대부분이 새누리를 싫어한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 또한 공천을 살펴보면 민주당은 변호사 공천 비율이 우리 두 배인 반면 이공계 공천 비율은 더 낮다. 이들이 진짜 기득권 아닌가. 공천만 봐도 전혀 기득권을 대변한다고 볼 수 없다.
  다만 지금의 정권이 신자유주의적·친기업적 정책을 추진했기 때문에 그렇게 인식될 수 있는 것은 사실이다. 친기업적인 것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이번 정권의 친기업정책은 친재벌적이기까지 해서 문제다. 그러나 친기업과 친재벌을 혼동하면 곤란하다.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들어서고 난 후 우리 정책은 친기업적이면서 또한 친서민적일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새누리 정책은 '친기업적'일 뿐 '친재벌적'은 아니다.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여러 청년문제 중 가장 시급한 것이다. 원래 새누리는 창업정책에 많이 집중했다. 최근에는 공공분야의 비정규직 철폐 등 비정규직 문제해결에도 노력을 쏟고 있다.
  일단 창업기회를 많이 만들 것이다. 하나의 벤처기업이 창업 후 3~4년이 지나면 27명 정도를 고용한다는 통계가 있다. 따라서 벤처기업을 만개 정도 만드는 것이 목표다. 또한 실패해도 그 원인을 분석해 재도전의 기회를 만들 것이다. 대기업 집중화로는 넘치는 고학력 인력을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일자리 창출에 한계가 있다. 결국 벤처와 IT계열에서 일자리를 창출해야한다. 김대중 정부의 벤처정책이 실패했다고 말하지만 당시 시작한 벤처기업들은 현재 70조의 수익을 낼 정도이므로 완전한 실패는 아니다. 처음에 조금 손실이 나더라도 미래를 보고 계속 투자해야 한다.

한미FTA에 대한 본인의 입장은 무엇인가
  야당의 말 바꾸기에 대해 비판할 생각은 없다. 다만 애초에 문제를 제기한 것들이 합리적인 것인지 생각해 봐야한다. 투자자국가소송제도(ISD)는 모든 협정에 다 들어가 있는 것이며 미국이 제기할 수 있고 우리도 제기할 수 있는 쌍방향조약이다. 또한 ‘미국이 좋아하니 우리가 손해 보는 것 아니냐’고 비판하는데 그런 논리는 합리적이지 않다. 한미FTA는 서로 WinWin하자는 것이지 누가 이득을 보면 그만큼 반대편이 손해를 보는 것은 아니다.
  물론 한미FTA에 대해 국민적 합의가 도출되지 않았다고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FTA는 거의 10년을 끌어온 문제고 토론도 수십 차례 진행했다. 그런데도 결론이 나지 않았다. 또한 얼마나 논의를 해야 충분한 것인지도 모호하다. 국민적 합의라는 것이 말은 좋은데 칼로 자르듯 정확한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결론을 내야할 시기였고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사안이었다.

현 정부가 언론을 억압하고 있다는 비판이 많은데
  최근 언론이 경직돼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 정권의 언론계 인사를 보면 답답하다. 지금 지상파 방송의 파업사태도 고리타분하고 보수적인 인사운영에서 비롯됐다고 본다.
  그러나 실제로 정부가 언론을 장악했느냐에 대해선 아니라고 말하고 싶다. 만일 그런 음모론이 사실이라면 새누리나 대통령에 대한 비판적 기사가 이렇게 많을 수 있겠는가. 당장에 부산일보 파업사태도 그렇다. 부산일보 기자들은 정수장학회가 편집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주장지만 실제 부산일보를 펴보면 박근혜 비대위원장에 대한 비판기사가 가득하다. 즉 인사에 대한 비판은 있을 수 있지만 편집권 침해나 언론장악의 문제가 있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