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유명 연예인들이 ‘종편으로 향했다’, ‘종편에서 무엇을 맡았다’는 이야기가 많이 들린다. 기존의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인 KBS, SBS, MBC가 아니라 조선일보 종편(CSTV), 중앙일보 종편(jTBC), 동아일보 종편(채널 A) 등이 새롭게 방송을 시작하기 때문이다.


  종편채널은 말 그대로 뉴스 보도, 교양, 드라마, 오락 등 모든 장르의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편성할 수 있는 채널이다. 케이블 채널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을 만큼 덩치가 크며 미디어 시장에 엄청난 영향을 줄 수 있다. 종편 사업자는 방송 개국을 오는 12월까지로 예정하고 있다. 이미 조중동 종편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법적 토대가 마련됐고 정부가 지원을 하겠다는 것이 확실한 상황에서 향후 종편 시행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는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먼저 단순한 채널의 확대가 여론 다양성에 기여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이미 조선일보 종편, 중앙일보 종편 편성 관계자는 뉴스와 보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보다 오락, 드라마를 주력 프로그램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여기서 핵심은 이러한 프로그램이 시청률을 올리기 위한 목적으로 대단히 상업적이고 선정적으로 치우칠 수 있다는 것이며 언론의 비판 기능은 약화되고 탐사보도와 분석력 있는 내용 전달은 어려울 것이라는 점이다. 부산민주언론시민연합 관계자는 “현재도 다양한 여론을 대변할 수 있는 언론 환경이 조성되지 않았는데 조중동 신문이 방송에 진입하면 민주주의, 언론공공성, 여론 다양성을 심각하게 훼손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중동 방송의 광고 직거래도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방송사는 한국방송광고공사라는 공적 광고기구를 통해 광고를 받아 자율성을 보장받았고 소규모 지역 방송사도 광고를 실을 수 있어 그나마 존립이 가능했다. 그러나 정부의 특혜를 바탕으로 조중동 종편은 광고를 직거래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KBS 광고를 가져가거나 신문을 이용해 방송광고를 받아낼 수 있는 것이 가능한 상황이다. 언론 본연의 임무는 소홀히 한 채 광고를 받기 위해 정부나 기업, 재벌과 손을 잡고 언론환경을 어지럽힐 가능성이 농후하다.


  또한 종편 한 개사 당 5천 명에 달하는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방송통신위원회 예측과 달리 종편이 직접 고용하는 숫자는 수백에 불과할 것이며 이마저도 비정규직, 노동 착취로 대변되는 ‘외주 프로덕션’을 적극 활용할 것이 명약관화하다. 조선일보 종편(CSTV) 전략기획실 관계자는 “모든 제작시설을 마련하기 위해선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므로 비용 대비 효과를 고려해 외주 프로덕션을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지금 시점에서 미디어법을 전면 손질하고 종편 사업자 선정과 상당부분 진행된 개국을 원천 무효화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다만 우리 모두는 종편이 지닌 절차상의 문제, 개국을 위한 정부의 온갖 특혜, 종편 시행 이후 변화할 환경까지 폭넓게 사안을 바라보고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종편의 문제점에 대해 사회적인 논의가 일고 국민 여론이 형성될 때 정부·여당도 무리하게 종편을 밀어주지 않을 것이며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현 상황을 타개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