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취업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면서 전과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는 생명자원과학대학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취업률이 높은 △기계공학부 △조선·해양공학과 전문대학원 준비에 유리한 △미생물학과 △분자생물학과 등으로 전과생이 몰리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이에 밀양캠퍼스 서태교 씨는 “많은 학생들이 유리한 위치에서 취업을 하기 위해 전과를 한다”며 “밀양에서 탈출하려는 심리도 커 본인의 관심사와 무관하게 전과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그렇다면 실제로 전과가 취업에 크게 도움이 될까. 전문가들은 전과가 취업에 크게 유리하다고는 볼 수 없다고 전했다. 전과를 할 경우 한 전공과정을 상대적으로 완벽하게 이해하지기 힘들어 특성을 살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종합인력개발원 황상홍 씨는 “전과를 통해 전공을 바꾸는 것 보다 자신이 속한 학과의 특징을 살려 학년에 맞게 취업계획을 짜야한다”고 말했다.

 
  많은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무관한 계열을 지원하는 것 또한 문제로 지적된다. 이는 현재 전과제도가 학점만을 반영해 학생적성과 무관하게 전과를 허가하기 때문이다. 전과허가서를 살펴봐도 학생들의 전과 의도, 성향 등을 알 수가 없어 전과제도의 수술이 시급한 실정이다. 최유철(항공우주 1) 씨는 “현재 전과제도는 학과성적만 반영하기 때문에 신입생 수시모집처럼 포트폴리오를 작성해 평가기준을 다각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또한 포트폴리오와 더불어 면접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학생도 있었다. 박지원(중어중문 2) 씨는 “학과성적의 반영비율보다 면접, 흥미, 적성에 대한 평가기준을 만들어 이에 대한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전했다. 또 이전에 전과를 준비했었던 ㄱ(사회과학대학) 씨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전과를 위해 주전공을 포기하는 경향이 있다”며 “전과하고자 하는 학과의 전공지식을 평가할 수 있는 시험을 치러서 평가해야 한다”고 전했다.


  더불어 일각에서는 현행 전과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과의 원래 목적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는 최근 사회가 취업을 중시하면서 전과의 의미가 취업을 위한 도구가 변질됐기 때문이다 생명환경화학과 이상몽 학과장은 “전과제도가 적성을 찾을 수 있는 제2의 기회라는 것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어 대학교육연구소 김재삼 연구원은 “전과의 병폐를 막기 위해 학부제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며 “결국 전과의 의미를 생각해봐야 한다”며 원점에서 생각할 필요성을 전했다. 일부 교수들은 전과가 취업의 도구로 쓰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학생, 직원, 교수간의 조화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사학과 최덕경 학과장은 “학내 주체들이 함께 노력해 미래가 밝은 과라는 인식을 만든다면 학생들이 취업의 도구로 전과를 이용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해결책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